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한국어 단어완성 점화에 대한 단어조각 유형의 효과

Effects of Word Fragment Type on Priming in Korean Word Completion Test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 The Korean Journal of Cognitive and Biological Psychology, (P)1226-9654; (E)2733-466X
1998, v.10 no.2, pp.175-189
박태진 (전남대학교 심리학과)

초록

한국어 단어완성 점화에서 개념적 처리와 지각적 처리의 기여도가 단어조각 유형에 따라 달라지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표적어는 받침이 없는 두 글자 단어였고, 단어조각은 일곱가지 유형으로서 첫째 글자나 둘째 글자중 한 글자의 자음이나 모음 탈락형들(예. '가ㅁ', '거ㅜ', ㄱ시', 'ㅗ부')과 두 글자 모두의 모음 탈력형(예, 'ㄴㅂ'), 두 글자 모두의 자음탈락형(예, 'ㅔㅐ'), 둘째 글자 탈력형(예, '계')이었다. 실험1에서는 약호화단계에서 표적어를 청각적 또는 시각적으로 제시하여 양상을 조작하였는데, 단어조각 유형에 따라 양상효과가 다르게 관찰되었다. 실험2에서는 약호화단계에서 처리수준을 조작하였는데, 처리수준을 피험자간 설계(실험2A) 또는 피험자내 블록목록 설계(실험2B)에 따라 조작한 경우에는 전반적으로 처리수준효과가 관찰되었지만 단어조각유형과 처리수준간의 상호작용은 관찰되지 않았다. 그러나 처리수준을 피험자내 혼합목록 설계(실험2C)에 따라 조작한 경우에는 처리수준과 단어조각유형간의 상호작용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단어완성 수행에 대한 개념적/지각적 처리의 기여도가 단어조각 유형에 따라 달라지며, 개념적 처리에 상대적으로 더 의존하는 단어완성검사(예, '가ㅁ'형과 '거ㅜ'형)와 지각적 처리에 상대적으로 더 의존하는 단어완성검사(예, 'ㅗ부'형과 'ㄱ시'형)가 구분될 수 있음을 시사해준다.

keywords

Abstract

Four experiments examined the effects of word fragment type on perceptual and conceptual processing in Korean word completion test. Target words were two-letter words without a final consonant. Word fragment types were manipulated in seven ways by deleting a vowel from second letter, a consonant from second letter, a vowel from first letter, a consonant from first letter, vowels from both letters, consonants from both letters, or a second letter (e.g., '가ㅁ', '가ㅜ', 'ㄱ시', 'ㅗ부', 'ㄴㅂ', 'ㅔㅐ', '계'). When study-test modality shifts were manipulated, significant modality effect was obtained in some word fragment types but not obtained in other types (Experiment 1). When semantic and perceptual study conditions were manipulated between Ss (Experiment 2A) or within Ss in a blocked list (Experiment 2B), significant levels of processing (LoP) effects were obtained but interaction between LoP and word fragment type was not significant. But when semantic and perceptual conditions were manipulated within Ss in a mixed list (Experiment 2C),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LoP and word fragment type were obtained.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relative contribution of perceptual and conceptual processing in word completion priming is dependent on word fragment type, and that perceptual and conceptual word completion tests can be distinguished by word fragment types.

keywords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