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시각탐색을 통한 선분 운동 착시의 유도

The Line Motion Illusion in Visual Search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 The Korean Journal of Cognitive and Biological Psychology, (P)1226-9654; (E)2733-466X
1999, v.11 no.2, pp.171-184
이도준 (연세대학교 심리학과)
김민식 (연세대학교 심리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공간적 주의의 정보처리 촉진 효과가 선분 운동 착시에 반영되는지 알아보기 위해 시각 탐색 과제와 선분 탐사 과제를 결합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1에서는 색으로 정의된 도형들을 표적자극과 방해자극으로 제시하고 인접한 위치에 선분을 제시하였는데, 표적자극의 위치와 방해자극의 위치에서 측정한 선분 운동 착시량 사이에는 아무런 차이가 없었다. 실험 2에서는 탐색자극의 돌발 출현(abrupt onset)으로 인한 주의의 자동할당(attentional capture)을 피하기 위해 차폐자극을 부분 소거(offset)하여 탐색자극들을 제시하고 또한, 선분 운동 착시량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두 가지 자극 제시 간격(stimulus onset asynchrony; SOA)을 사용했을 때, 공간적 주의의 효과가 큰 150msec SOA 조건에서는 실험 1과 동일한 결과가 나타났고 오히려 공간적 주의의 효과가 감소하는 250msec SOA 조건에서 탐색자극의 종류에 따른 착시량의 차이가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공간적 주의가 선분 운동 착시를 일으키는데 필수조건이 아니라는 점을 증명함과 동시에, 선분 운동 착시가 선행 자극과 후속 선분간의 접합(binding)을 통한 가현운동의 산물일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시사한다.

keywords

Abstract

Two visual search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whether the line motion illusion results from the local facilitation of a line stimulus in the gradient of attention. In Experiment 1, color-defined search elements were presented as sudden-onset stimuli, and a line appeared between them. Subjects showed no difference between a target and distractors in inducing an illusory projecting sensation from a line following them. In Experiment 2, search element were presented through partial offset of premasks in order to prevent attentional capture by abrupt onset, and two stimulus onset asynchronies (SOAs) were applied to measure a temporal profile of the line motion illusion. The 150msec SOA condition produced the same result as Experiment 1, whereas the target induced more amount of illusion than the distractors with 250msec SOA. These results provide an evidence that spatial attention is not a necessary condition of the line motion illusion, suggesting that the line motion illusion may be a byproduct of binding process between a preceding stimulus and a subsequent line.

keywords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