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6-9654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의 영어 말소리 지각에 나타나는 어려움이 무엇에 기인하는 것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청각 자극의 입력을 직접적으로 계산하는 상향적 처리 과정에 기인하는 것인가, 단어 수준의 처리 후에 인출된 잘못된 영어 발음 범주 표상에 의해 하향적으로 발생하는 것인가? 많은 연구들이 영아가 비모국어 음성 세부 특징을 지각할 수 있는 것에 비해, 성인의 경우에는 비모국어 음성 세부 특징에 대한 민감도가 떨어진다는 것을 보고하였다. 그러나, 몇 번의 피드백 있는 훈련을 통해서 비모국어 음성 세부 특징에 대한 지각 수행 능력이 향상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내재적인 감각 능력의 열등함 때문에 외국어를 지각하기 어려운 것이 아님을 시사한다. 자극의 음성적 속성에 주의하면 청자는 비모국어 음소를 지각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실험에서는 음성적 세부 특징에만 피험자가 주의를 기울이도록 한 조건과 언어적인 수준의 처리가 가능한 조건의 음소 지각 수행을 직접 비교하였다, 피험자는 연달아 제시되는 두 소리 자극의 발화 개시음이 동일한 것인지를 판단하였다. 단어 맥락에서는 선행된 자극이 단어였으며, 맥락 배제 조건에서는 음절 길이를 갖는 자극이었다. 짧은 지연시간 후에 음절 길이 이하의 자극을 제시하였다. 처리의 시간과정(time course)을 알아보기 위하여 1010 ms SOA와 2000 ms SOA의 두 자극의 제시 간격 변인을 추가하였다. 실험 결과, 단어 맥락에서 더 높은 오류율과 느린 반응속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맥락 배제 조건의 오류율도 높은 편이었지만, 단어 맥락에 비해서는 현격히 낮은 수준이었다. 피험자들은 비모국어 음성 세부 특징을 단어 자극에서 보다 음절 길이의 비단어 자극에서 더 민감하게 탐지하였다.
The current study was planned to examine the source of difficulties in English speech perception in Koreans: the question is to determine whether perception difficulties in nonnative speech sounds occur due to the detection processing of the acoustic features or due to the mapping processing from acoustic features to phonological representations. Many previous studies reported that young infants can perceive the nonnative sound features, but after acquiring the native language, adults became insensitive to the nonnative sounds. However, other studies showed that adults having difficulty in perceiving the nonnative speech sounds could discriminate different acoustic features not existing in the native language and their perceiving ability improved after practice in perceiving the nonnative speech sounds. In this study, subjects were asked to decide whether the initial sounds of two stimulus sounds were same or not. Two sound stimuli were presented consecutively and the standard stimulus preceded the prove stimulus. In one condition(or lexical context condition), the preceding stimulus was a word. And in the other condition(or non-linguistic condition), that stimulus was a syllable length sound. In both conditions, the probe stimulus was a phoneme length sound. We reasoned that if Korean subjects' difficulty in perceiving English sounds comes from the incorrect mapping from the acoustic features of English sounds to the phonological representation and if the phonological representation in mental lexicon for English words is based on the Korean phonology structure, Korean subjects would perform this discrimination task better in the non-linguistic condition than in the linguistic condition. The result showed that in the linguistic condition subjects made more errors and slower reaction time than in the non-linguistic condition. And this result indicates that Korean subjects' difficulty in perceiving English sounds occurs due to the incorrect mapping from the acoustic features of English sounds to the phonological represent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