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6-9654
한국어 단어완성검사 가운데 지각적 단어완성검사와 개념적 단어완성검사에 미치는 기억의 자동 영향과 의식적 통제 영향을 처리-해리 절차(Jacoby, 1991)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실험 1에서는 약호화단계에서 표적어를 시각적(동일양상) 또는 청각적으로(교차양상) 제시함으로써 약호화와 인출간 양상이동을 조작하였다. 지각적 단어완성 수행에 대한 자동영향은 교차양상 조건보다 동일양상조건에서 더 컸으며(양상효과) 동일양상조건에서만 유의미한 기억효과를 보였다. 반면 개념적 단어완성 수행에 대한 자동영향은 양상효과를 보이지 않았고 두 양상조건 모두에서 유의미하였다. 그리고 두 검사 모두에서 의식적 통제 영향은 양상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실험 2에서는 약호화단계에서 표적어에 대해 의미처리 또는 지각처리를 하게 함으로써 처리수준을 조작하였다. 기억의 자동 영향은 두 검사 모두 의미처리조건과 지각처리조건간에 차이가 없었고 두 처리조건 모두에서 유의미하였다. 그리고 의식적 통제 영향은 두 검사 모두 지각처리보다 의미처리에서 더 컸다(처리수준효과). 이러한 결과는, 지각적 단어완성과 개념적 단어완성 모두 기억의 통제 영향을 받으며, 기억의 자동 영향이 지각적 단어완성에서는 학습정보의 지각적 처리에 크게 의존하지만 개념적 단어완성에서는 그렇지 않음을 시사해준다. 그리고 기억의 의식적 통제 영향은 학습정보의 지각적 처리에는 의존하지 않지만 처리수준에는 의존함을 시사해준다.
A process-dissociation procedure (Jacoby, 1991) was used to separate automatic and consciously controlled influences of memory in Korean perceptual and conceptual word completion tests, Modality-shift (Exp. 1) and level of processing (Exp. 2) were manipulated at study. Automatic influences of memory (a) were observed at the same modality condition but not observed at the cross modality condition (modality effect) for the perceptual word completion test but (b) were observed at both modality conditions (no modality effect) for the conceptual word completion test and (c) remained invariant across semantic and perceptual processing conditions (no effect of level of processing) for both tests. Controlled influences of memory (a) showed no modality effect and (b) showed effect of level of processing. These results provide evidence that (a) both perceptual and conceptual word completion are often contaminated by consciously controlled influences of memory and (b) automatic influences of memory are highly dependent on perceptual processing at study for the perceptual word completion test but not dependent for the conceptual word completion test and (c) controlled influences of memory are highly dependent on conceptual processing but not dependent on perceptual processing at study for both te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