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6-9654
두 실험을 통해 가상환경에서의 공간의 높이 지각, 공간에 대한 감성, 편안한 느낌을 주는 높이에 대해 연구하였다. 공간의 높이 지각은 제시된 공간의 높이가 높아짐에 따라 함께 높아 졌으며 2m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높이에 대한 지각은 제시된 높이와 다름이 없었다. 키는 높이 지각에는 영향을 주지 않지만 편안한 높이의 선정에는 영향을 주었고 인위적으로 주어진 눈높이는 높이 지각과 편안한 높이의 선정 모두에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벽 색의 밝기는 높이 지각에는 영향을 주지 않지만 공간에 대한 감성에는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키에 따라 편안한 높이에 차이가 있다는 발견은 Warren과 Mark의 body-scaled information 주장과 일치하는 결과이다. 작은 키 그룹은 2.496m를 큰 키 그룹은 2.678m를 편안한 천장 높이로 설정하였다. 자신의 눈높이와 18.3cm의 차이를 둔 주어진 눈높이가 편안한 천장 높이에 유의한 차이를 내지 못했다는 결과는 눈높이에 대한 선행 연구와는 일치하지 않지만 선행연구에서는 관찰창을 사용하여 매우 제한적으로 자극을 제시하였고 본 실험에서는 방을 전체적으로 보여주고 참조물인 의자까지 넣어주었다는 차이점에 그 원인이 있을 수 있다고 생각된다.
In two experiments the perception of the ceiling-height, comfortable ceiling- height, human sensibility of a room in a virtual environment were investigated. While the brightness of wall-color had no effect on perception of ceiling height, it affected the human sensibility of a room. Height of subjects didn't influence perception of the ceiling-height but did influence the perception of a comfortable ceiling-height. The result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omfortable ceiling height along the subject height was congruent with the intrinsic body scaled information of Warren and Mark. 2.496m in small group and 2.678m in tall group were discovered as the comfort ceiling-height from our experiment. π for small group was 1.64, and π for tall group was 1.54. The artificial eye-height which has 18.3cm difference with subjects' eye-height had no effect on either of the perception of the ceiling-height and the perception of the comfortable ceiling-height. The artificial eye-height didn't yield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ception of the comfortable ceiling-height conflicted with the results of the previous research of Warren and Mark. It was conjectured that the difference might comes from the fact that the previous experiments used the peephole and allowed the subjects to use the monocular vision only whereas the present experiments allowed the subjects explore the room as much as possible in the virtual envir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