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회피학습의 정도와 공포기억의 강도 사이의 관계 2: 회피반응에 숙달되어도 CS에 대한 공포는 감소되지 않는다

Relationship between the degree of avoidance learning and the intensity of conditioned fear II: Conditioned fear to CS does not decrease even after extensive avoidance training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 The Korean Journal of Cognitive and Biological Psychology, (P)1226-9654; (E)2733-466X
2001, v.13 no.1, pp.45-56
김문수 (전남대학교 심리학과)
정지운 (전남대학교 심리학과)
홍옥란 (전남대학교 심리학과)
임형문 (전남대학교 심리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능동적 회피반응에 잘 숙달되면 조건자극(CS)에 대한 공포가 감소되는가를 검토하는 것이었다. 조건공포의 측정치로는 CS의 제시에 대한 전반적 활동성의 변화에 바탕한 억압비를 사용하였다. 실험 1에서는 흰쥐들에게 불빛 CS와 전기충격 US를 1, 3, 9, 또는 27회 짝지어 제시하여 고전적 조건형성을 시켰는데, 조건형성시행을 많이 경험한 집단일수록 CS에 대한 조건공포가 컸다. 실험 2에서는 3, 9, 또는 27회 연속회피반응이 나올 때까지 능동적 회피학습을 시켰는데, 이런 회피학습의 정도와 상관없이 CS에 대한 조건공포의 강도는 세 집단 사이에 유사했다. 동물이 회피반응에 잘 숙달되어도 CS에 대한 조건공포가 감소되지 않는다는 본 연구결과는 기존의 결과와 상반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불일치를 설명할 수 있는 가능한 원인들을 논의하였다.

keywords

Abstract

The present study examined whether conditioned fear to a CS would decrease after extensive active avoidance training. Suppression ratios calculated from the change of general activity induced by CS presentation in an activity box were used as a measure of conditioned fear. In experiment 1, rats received classical conditioning by pairing a light CS with footshock US 1, 3, 9, or 27 times and were tested for conditioned fear. The more conditioning trials the animals received, the higher the conditioned fear to the CS. In experiment 2, animals received 15 active avoidance training trials on day 1 and assigned to 3 groups based on their performance. On day 2, they were trained to a criterion of 3, 9, or 27 consecutive avoidance responses, and one day later, tested for conditioned fear to the CS. All three groups showed similar degree of conditioned fear. This result indicating that extensive active avoidance training does not decrease conditioned fear to the CS is not consistent with the results of most of the previous studies, and possible reasons for this discrepancy is discussed.

keywords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