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6-9654
  • E-ISSN2733-466X
  • KCI

범주화 과제에서 한글단어의 빈도효과

Hangul Word-Frequency Effects in the Categorization Task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 The Korean Journal of Cognitive and Biological Psychology, (P)1226-9654; (E)2733-466X
2001, v.13 no.2, pp.113-131
조증열 (경남대학교)

초록

본 연구는 범주화 과제를 사용한 세 실험에서 단어의 빈도를 조작하여 한글 단어의 재인에 미치는 음운 정보의 역할을 알아보았다. 실험 1과 2에서 사용된 자극은 두 글자의 단어이었는데, 실험 1에서는 사례와 목표자극이 두 번째 글자의 종성에서만 달랐고(예, 범주: '관직', 사례: '시장', 목표자극 '시작'), 실험 2에서는 첫 번째 글자의 종성에서만 달랐다(예, 범주: '관직', 사례: '시장', 목표자극: '신장'). 실험 1에서는 통제자극보다 저빈도 목표자극의 오반응이 더 많았고, 고빈도 사례의 반응시간이 더 긴 음운효과가 나타났다. 실험 2에서는 사례가 고빈도이고 목표자극이 저빈도인 조건이 통제조건보다 반응시간이 더 길었다. 실험 3에서는 사례(예, '군인')와 동음어인 비단어를 목표자극(예, '구닌')을 사용하여, 실험 결과로 오반응 분석에서는 사례의 빈도에 상관없이 큰 음운효과를 얻었고 반응시간의 분석에서는 고빈도 사례에서 음운효과를 얻었다. 이 결과는 이중경로모형(Jared & Seidenberg, 1991)을 지지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한글 단어의 의미 처리에 미치는 음운 정보와 시각 정보의 영향은 단어의 빈도에 의존하며, 고빈도의 단어는 직접경로를 저빈도의 단어는 음운매개경로를 경유하는 것으로 시사된다.

keywords
한글 단어 재인, 단어 빈도, 음운 효과, 범주화 과제

Abstract

Three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ole of phonological information in Hangul word recognition manipulating frequency of words in a semantic categorization task. Stimuli used in the first 2 experiments were two syllable words, and exemplars and target words were different in the final consonant of the second syllable in Exp 1 and in the final consonant of the first syllable in Exp2. Exp 1 showed the results that subjects made more errors on low frequency target words and took longer times on high frequency exemplars than on controls. In Exp 2 subjects took longer times at the condition of high frequency examplars and low frequency targets than at a control condition. Exp 3 used pseudo-homophones of exemplars as targets, and found that subjects made more errors on both of high and low frequency exemplars and took longer times on high frequency exemplars than on controls. These results support the predictions of dual process models(e.g., Jared & Seidenberg, 1991) and suggest that the use of phonological and visual information depends on word frequency. That is, low frequency words are recognized by phonological route, but high frequency words by direct visual route.

keywords
Hangul word recognition, word frequency, phonological effects, categorization task
투고일Submission Date
2001-06-25
수정일Revised Date
게재확정일Accepted Date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