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지각적 점화의 반구 비대칭성 : 처리수준과 심상이 암묵/외현기억에 미치는 효과

Hemispheric Asymmetry of Perceptual Priming : Effects of Level of Processing and Imagery on Implicit/Explicit Memory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 The Korean Journal of Cognitive and Biological Psychology, (P)1226-9654; (E)2733-466X
2001, v.13 no.2, pp.99-111
박태진 (전남대학교 심리학과)
박미자 (성균관대학교 심리학과)

초록

분할-시각장 제시절차를 사용하여 암묵기억과 외현기억에서 관찰되는 처리수준효과의 반구 비대칭성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부호화단계에서 점화어를 시각적으로 제시하거나(실험1) 청각적으로 제시하고서(실험2) 처리수준을 조작한 후, 단어완성검사 그리고 단서회상검사에서 단어조각을 좌측 시각장(우반구 제시) 또는 우측 시각장(좌반구 제시)에 제시하였다. 표적어와 점화어가 동일 감각양상일 때(실험1), 암묵기억검사에서는 의미처리와 지각처리 모두에서 우반구 제시가 좌반구 제시보다 더 큰 점화를 일으켰고(우반구 이득효과) 처리수준효과는 좌반구 제시에서만 관찰되었다. 반면, 외현기억검사에서는 아무런 반구 비대칭성도 관찰되지 않았고 처리수준효과는 두 시각장 제시 모두에서 관찰되었다 표적어와 점화어가 제시되는 감각양상이 상이하고 지각처리조건에서 단어심상을 형성하도록 하였을 때(실험2), 암묵기억검사에서는 아무런 반구 비대칭성도 관찰되지 않았고 두 시각장 제시 모두에서 처리수준효과가 관찰되지 않았다. 외현기억검사에서도 역시 반구 비대칭성은 관찰되지 않았지만 처리수준효과는 두 시각장 제시 모두에서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우반구에서 주로 작용하는 형태-특유 표상체계와 두 반구에서 모두 작용하는 추상적 단어형태 표상체계의 구분(Marsolek 등, 1992)을 지지해주며, 점화를 매개하는 지각기제가 자료주도적 처리에서 어휘처리에 이르기까지 복합적이라는 것을 시사해준다.

keywords
반구비대칭성, 분할시각장, 처리수준, 형태특유표상, 암묵기억

Abstract

The authors examined the hemispheric asymmetry of level of processing(LoP) effect in implicit and explicit memory test by using divided-visual-fieid method. Within-modality priming for words (Exp. 1) was greater at both perceptual and semantic encoding conditions when test stimuli were presented initially to the right cerebral hemisphere (RH), and LoP effect was observed only at left cerebral hemisphere (LH) presentation. In contrast, cross-modality priming with visual imaging at perceptual encoding (Exp. 2) showed no RH advantage at both encoding conditions, and showed no LoP effect at both hemispheric presentations. But, in both modality conditions, explicit memory showed no RH advantage, and showed equivalent LoP effect at both hemispheric presentations. Results support the distinction of form-specific representation system that is more effective in the RH and abstract form representation system that is not more effective in the RH (Marsolek et al., 1992), and suggest that the perceptual mechanisms underlying priming include data-driven processing and lexical processing.

keywords
hemispheric asymmetry, divided visual field, level of processing, form specific representation, implicit memory
투고일Submission Date
2001-06-02
수정일Revised Date
게재확정일Accepted Date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