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판단자의 관점이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erspectives on preference judgment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 The Korean Journal of Cognitive and Biological Psychology, (P)1226-9654; (E)2733-466X
2001, v.13 no.2, pp.147-159
도경수 (성균관대학교 심리학과)
곽부원 (부산대학교 심리학과)
신현정 (부산대학교 심리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판단자의 관점에 따라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달라지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두 가지 모의주식투자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1에서는 투자비율에 따라 주식의 선택과 최고 매수가의 결정에 영항을 주는 요인이 달라지는지 알아보았으다. 선택과제에서는 수행은 금액 정보와, 가격과제에서의 수행은 확률정보와 상관이 높게 나타났으나, 투자 비율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매수자와 매도자의 관점에서 주식을 선택하거나 가격을 결정하게 한 실험 2에서 선택과제의 수행은 금액정보와 상관이 높았다. 가격과제에서 매도자의 경우에는 기대값에 보다 높은 가중치를 두어 가격을 결정하는 반면에, 매수자의 경우에는 이익을 얻을 확률정보에 더 높은 가중치를 두는 것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판단자의 관점에 따라 정보의 유관성이 달라진 결과로 해석되었다.

keywords
선호판단, 유관성, 관점, 평가가능성

Abstract

Two experiments were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erspectives on preference judgments. Proportion of investment to the total asset was manipulated in Experiment 1. Information about probability of gain and loss was highly correlated with the judgment in the price task, whereas information about the amount of gain and loss was correlated with the judgment in the selection task. The pattern of results in the three levels of investment, however, were quite similar to one another. Roles of the decision maker, either as buyers or as sellers, were manipulated in Experiment 2. Information about the amount of gain and loss was correlated with the judgment in the selection task for both buyers and sellers. Buyers and sellers were influenced by the expected value of the stocks and the probability of the gain of the stocks in the price task. However, relative importance of the two factors were different: Sellers were more influenced by the expected value of the stocks, whereas buyers were more influenced by the probability of gain.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 perspectives of decision makers affected the relevance of information, and consequently the preference judgment.

keywords
preference judgment, relevance, perspectives, evaluability
투고일Submission Date
2001-06-12
수정일Revised Date
게재확정일Accepted Date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