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착각접합의 거리 효과를 통해 본 세부특징통합 이론과 위치불확실성 가설의 비교검증

Examination on a Distance Effect of Illusory Conjunction : Contrasting the Feature Integration Theory with the Location Uncertainty Hypothesis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 The Korean Journal of Cognitive and Biological Psychology, (P)1226-9654; (E)2733-466X
2001, v.13 no.2, pp.71-97
배문정 (서울대학교 인지과학 협동과정)
김정오 (서울대학교 인지과학 협동과정)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세부특징통합 이론(Treisman 등, 1982)은 자극간 거리가 착각접합의 발생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주장하는 반면, 위치불확실성 가설(Ashby 등, 1996)은 자극간 거리가 착각접합의 발생에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한다. 실험 1에서 일차과제로 주의를 분산시키고 2개의 자극을 제시하였을 때, 인접한 자극들 사이에서만 착각접합이 일어났다. 이는 자극간 거리가 착각접합의 발생에 영향을 미친다는 위치불확실성 가설을 지지한다. 실험 2에서는 거리효과가 관찰되지 않은 선행연구의 결과들이 주의부담의 차이에 기인했는지 지각적 집단화 요인에 기인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자극수를 증가시켜 주의부담을 조작하고 자극배열 형태로 지각적 집단화를 조작하였다. 세부특징통합 이론은 주의부담이, 위치불확실성 가설은 지각적 집단화가 거리 효과의 유무에 영향을 미친다고 제안한다. 자극수를 증가시켰을 때, 멀리 떨어진 자극들 사이에서도 많은 착각접합이 일어났으며 자극 배열 형태는 거리효과에 영형을 미치지 않았다. 실험 3에서는 멀리 떨어진 자극들 사이에서 관찰되는 착각접합이 주의부담에 영향을 받는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사전 공간단서로 주의부담을 조작하였다. 주의부담이 적은 조건에서는 뚜렷한 거리효과가 관찰되었으나 주의부담이 큰 조건에서는 모든 거리에서 동일한 양의 착각접합이 관찰되었다. 실험 2와 3의 결과는 주의부담이 착각접합의 발생과 거리효과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세부특징통합 이론을 지지한다. 실험 4는 자극수 증가가 착각접합의 거리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반복하였으며, 각 거리조건에서 관찰되는 착각접합이 시행수와 노출시간에 따라 차별적인 영향을 받는지를 조사하였다. 결과는 인접한 자극들 사이에 일어나는 착각접합과 멀리 떨어진 자극들 사이에서 일어나는 착각접합이 서로 다른 변인에 영향을 받을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keywords
착각접합, 거리효과, 세부특징통합 이론, 위치불확실성 가설, 주의부담, 지각적 집단화

Abstract

The feature integration theory (Treisman et ai., 1982) predicts that illusory conjunctions are not affected by the distance between stimuli. The location uncertainty hypothesis (Ashby et al., 1996), however, proposes that illusory conjunctions occur only between the adjacent stimuli. Four experiments investigated the distance effect of illusory conjunction. Using a new primary task in which memory load is minimized Experiment 1 showed that illusory conjunctions occurred only between the adjacent items when only two letters was displayed and perceptual grouping was controlled. In Experiment 2, a nontarget was added in the display, and increased attentional load and perceptual grouping was manipulated (horizontal, vertical, and random array). Attentional load made quite large illusory conjunctions between letters at far distances, but perceptual grouping had no effect at far distances. In Experiment 3, small attention load conditions demonstrated a clear distance effect, whereas a large load produced about same amount of illusory conjunctions at all distances. Finally, Experiment 4 replicated the results on the random array condition in ex. 2 and ex. 3, and confirmed that illusory conjunctions are an attentional failure in nature rather than a sensory failure. Also it implicated that illusory conjunctions between the adjacent letters and those between the far letters may be influenced by the different variables.

keywords
illusory conjunction, distance effect, feature integration theory, location uncertainty, hypothesis, attention load, perceptual grouping
투고일Submission Date
2001-06-24
수정일Revised Date
게재확정일Accepted Date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