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6-9654
  • E-ISSN2733-466X
  • KCI

문장 간의 인과성 및 인과적 접속사의 출현 여부가 글 이해에 미치는 영향

Processing of Connectives in Discourses with Causal or Additive Connections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 The Korean Journal of Cognitive and Biological Psychology, (P)1226-9654; (E)2733-466X
2001, v.13 no.4, pp.287-305
전문기 (성균관대학교 심리학과)
이정모 (성균관대학교 심리학과)
이재호 (중앙대학교 심리학과)

초록

문장 간의 인과적 의미 연결 및 인과적 접속사의 출현 여부가 문장 간의 통합적 표상 형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3개의 실험이 실시되었다. 실험 1에서는 인과적 연결 문장쌍이 부가적 연결 문장쌍에서보다 접속사 이후의 후속 문장 읽기시간이 유의하게 빨랐다. 그리고 인과적 연결 문장 쌍에 인과적 접속사가 삽입된 조건이 삽입되지 않은 조건보다 접속사 이후 문장을 읽는 시간이 유의하게 빨랐으나, 부가적 문장쌍에서는 부가적 접속사의 유무에 따라 접속사 이후 제시된 문장에 대한 읽기시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는 접속사 유형이 문장의 통합에 상이한 영향을 미침을 시사하는 결과로 해석되었다. 또한 실험 2 결과, 첫 번째 문장의 마지막 단어 읽기시간은 인과적 접속사가 삽입된 조건과 삽입되지 않은 조건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접속사 이후 제시된 두 번째 문장의 마지막 단어 읽기시간은 인과적 접속사가 삽입된 조건이 삽입되지 않은 조건보다 유의하게 길었다. 전자는 첫 문장에서 연결정보처리가 일어나지 않음을, 후자는 접속사의 출현이 인과적 연결 문장 간의 통합을 촉진함을 시사하는 결과로 해석되었다. 실험 3에서는 재인검사를 통해, 인과적으로 연결된 문장에서 인과적 접속사가 없을 때는 후행문장의 초두에서, 있을 때에는 후행 문장의 끝에서, 선행문장의 요소인 단어를 재인시간이 빨라짐을 발견하였다. 이는 인과적 접속사 출현 여부가 문장 연결 통합적 정보처리를 다른 시점에서 일으킴을 시사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keywords
언어이행, 인과성 추론, 접속사 처리, 응집성

Abstract

Three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explore the processing characteristics of causal connectives in 2-sentence discourses. In Experiment I, either causal or additive discourses with or without causal/ additive connectives were presented to subjects, and the reading time for the second sentence of each pair was measured. With additive discourses,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additive connective produc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reading time, while the presence of a causal connective in a causal discourse entailed a faster reading time. In Experiment 2, it was found that the presence or absence of connectives made no difference on the reading time for the last word in the first sentence, while it caused a longer reading time for the last word in the second sentence. The former indicates the absence of the integrative processing during reading the first sentence, while the latter reflects a facilitation of integration of sentence pair initiated by the causal connective. In Experiment 3, a recognition test for the verb of the precedent sentence was given either at the beginning or at the end position of the second sentence, and it was found that under the connective-absent condition the recognition time was faster at the beginning position while it was faster at the end position under the connective-present condition, suggesting that the presence or absence of causal connectives entails different integrative processing. The general implications of the results of three experiments were discussed further in relation to the formation of coherent representation of discourses.

keywords
language processing, causal inference, connectives processing, coherence
투고일Submission Date
2001-11-13
수정일Revised Date
2001-12-18
게재확정일Accepted Date
2001-12-20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