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도구추론의 온라인 생성과정에서의 읽기범위 개인차 효과: 어휘판단과제와 그림명명과제의 비교

Individual Differences in Instrument Inference: A Comparison of Lexical Decision Task and Picture Naming Task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 The Korean Journal of Cognitive and Biological Psychology, (P)1226-9654; (E)2733-466X
2001, v.13 no.4, pp.307-321
김성일 (광운대학교 산업심리학과)
유현주 (성균관대학교 심리학과)

초록

도구추론에서 읽기범위에 따른 개인차 효과가 나타나는지를 살펴보고자 2개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1에서 어휘판단과제를 사용한 결과 읽기범위가 큰 이해자는 도구추론을 온라인으로 생성하였지만, 읽기범위가 작은 이해자는 도구추론을 온라인으로 생성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명명과제를 사용한 실험 2에서는 이해자의 읽기범위 능력에 관계없이 도구추론이 온라인으로 생성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 1과 2의 상반된 결과를 종합해 보면, 언어이해과정에서는 발생하는 도구추론의 유형은 언어적인 도구추론과 시각적인 도구추론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어휘판단과제는 언어적 추론에 민감한 과제인 반면, 그립명명과제는 비언어적(시각적) 추론에 매우 민감한 과제인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읽기범위가 작업 기억의 음운회로에서의 처리효율성을 반영하는 측정치라는 점 또한 시사한다.

keywords
도구추론, 읽기범위의 개인차, 어휘판단과제, 그림명명과제, 작업기억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ndividual differences(reading span differences) in instrument inference by using two different tasks. Lexical decision task was used in Experiment 1 whereas picture naming task was used in Experiment 2. The results of Experiment 1 indicated that high span readers generated instrument inference on-line while low span readers did not. However, the results of Experiment 2 indicated that both low and high span readers generated instrument inference on-line. It is suggested that picture naming task is so sensitive to the perceptual inferential processing that the generation of instrument inference of low span readers could be detected, whereas lexical decision task is sensitive only to the verbal inference. It is also discussed that reading span may reflect the processing efficiency in the phonological loop system of working memory.

keywords
instrument inference, individual difference, reading span, lexical decision task, picture naming task, working memory
투고일Submission Date
2001-10-30
수정일Revised Date
2001-12-13
게재확정일Accepted Date
2001-12-17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