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한국어 문장처리과정의 보편성과 특수성

Sentence Processing and Crosslinguistic Variation : The Case of Korean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 The Korean Journal of Cognitive and Biological Psychology, (P)1226-9654; (E)2733-466X
2001, v.13 no.4, pp.339-359
김영진 (아주대학교 심리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여러 구문분석 원리들이 한국어 문장 이해 과정에도 적용될 것인가의 문제, 즉 구문분석 과정의 보편성을 문제를 살펴보았다. 한국어 실험 자료를 개관한 결과, 최소 부착과 최소 사슬의 두 원리들은, 다른 언어와 문법적인 특성이 현저하게 다른 한국어 문장의 구문분석 과정에서도 잘 적용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늦은 종결 원리는 한국어의 경우 처리의 국소성 원리로 포괄하면 역시 실험 자료와 잘 일치함을 논의하였다. 아울러 동사가 문장 말미에 나오는 한국어에서도 동사가 나오기까지 구문분석이 지연되지 않고 증가적으로 이루어진다는 증거가 있으며, 동사의 논항 정보도 다음에 나올 명사구에 대한 기대를 형성하게 한다는 의미에서 구문분석 과정에 적극적으로 관여할 것이라는 예측을 할 수 있었다. 그리고 한국어의 재분석 과정은, 재분석의 방식에 대한 단서가 제공되면 분석이 쉬워진다는 결과에 기초해 진단 모형과 일치함을 논의하였다. 앞으로의 한국어 구문분석 과정에서 요구되는 연구 방향에 대한 논의를 하였다.

keywords
문장 이해, 구문분석 원리, 최소 부착, 최소 사슬, 늦은 종결, 재분석

Abstract

To address the universality of the sentence processing strategies across different languages, various experimental results of Korean sentences were reviewed and examined. The predictions from such parsing strategies as the minimal attachment and the minimal chain were compatible with the word-by-word reading times of Korean ambiguous sentences such as embedded structures and dative noun phrases. The late closure strategy itself might not be appropriate for Korean, however, we argued that more inclusive parsing principle like locality could handle the ambiguity of Korean relative clause attachment. We confirmed that Korean parsing operations were performed incrementally, and argument information of verbs might be used in making expectation for a forthcoming structure. We showed that reparsing processes of Korean seem more compatible with diagnostic model, Suggestions for further studies were made.

keywords
sentence comprehension, parsing strategies, minimal attachment, minimal chain
투고일Submission Date
2001-11-10
수정일Revised Date
2001-12-15
게재확정일Accepted Date
2001-12-20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