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신경병리성 통증의 조절에 관여하는 아편계 및 NMDA계 약물의 상호작용

Interaction between opioid and NMDA systems involved in the modulation of neuropathic pain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 The Korean Journal of Cognitive and Biological Psychology, (P)1226-9654; (E)2733-466X
2002, v.14 no.1, pp.47-61
원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임상의학연구센터)
윤진선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임상의학연구센터)
정세정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임상의학연구센터)
이경희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임상의학연구센터)
오진환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임상의학연구센터)
손진훈 (충남대학교 심리학과)
이배환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임상의학연구센터)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신경 또는 조직 손상으로 야기되는 신경병리성 통증(neuropathic pain)을 완화시킬 수 있는 효과 적인 방법을 개발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본 연구에서는 교감신경계 무관 통증 모델에 있어서, N-methyl-D-aspartate (NMDA) 길항제를 아편계 약물과 함께 사용하여 이들 약물이 어떤 기전을 통해 상호작용하는가를 전기생리학적으로 알아봄으로써, opioid로 완화가 힘든 신경병리 성 통증의 치료에 이들 약물을 이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halothane 마 취하에서 흰쥐의 좌골신경 분지중 tibial nerve와 sural nerve를 결찰하고 절단함으로써 말초신경의 손상을 유도하였다. 말초신경 손상후 14일 지나 쥐를 다시 urethane으로 마취하고 아편계 효능제인 [D-Ala<sup>2</sup>, N-Me-Phe<sup>4</sup>, Gly-ol<sup>5</sup>]-enkephalin(DAMGO) (&#x00B5;), [D-Arg<sup>2</sup>,Lys4]-Dermorphin-(1-4)-amide(DALDA)(&#x03B4;), bremazocine(K)을 이온영동적으로 주입하고, NMDA 길항제인 MK_801을 정맥주입하면서 기계적 자극 및 온도 자극에 대한 척수 후각 뉴런의 반응을 기록하였다. 그 결과 아편계 약물은 외부 자극에 대한 척수 후각 뉴런의 반응을 억제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x00B5;-opioid 수용기 효능제인 DAMGO의 억제 효과가 가장 강력하였다. 또한 NMDA 길항제인 MK-801을 정맥주입하고 DAMGO를 이온영동적으로 주입하면 단독으로 주입할 때 보다 훨씬 강력하게 뉴런의 반응을 억제시켰지만 DALDA나 bremazocine은 그렇지 못했다. 이러한 결과는 &#x00B5;-opioid 수용기 효능제인 DAMGO가 단독으로도 신경병리성 통증을 강력히 억제하며, NMDA 길항제와 상호작용함으로써 동시 투여시에는 보다 더 강력히 억제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keywords

Abstract

It is very important to develop effective method to relieve neuropathic pain which may be produced by nerve or tissue injur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interaction between opioid and NMDA systems in the modulation of sympathetically independent neuropathic pain. Under halothane anesthesia, the tibial and sural nerves of male Sprague-Dawley rats were ligated and cut. Fourteen days after injury, the rats were reanesthesized by urethane and subjected to iontophoretic experiment. Opioid agonists such as DAMGO (&#x00B5;), DALDA (&#x03B4;), and bremazocine (K) were ejected microiontophoretically. MK-801, an NMDA antagonist, was injected intravenously. Microiontophoretically ejected DAMGO more robustly inhibited the responses of dorsal horn neurons to external stimulation compared to DALDA or bremazocine. Furthermore, iontophoretically ejected DAMGO enhanced the inhibitory effects of intravenously injected MK-801. The results suggest that opioid system may interact with NMDA system in modulation of neuropathic pain, depending on receptor subtypes.

keywords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