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전역 및 국지 수준의 처리가 공간주의의 분포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 The Korean Journal of Cognitive and Biological Psychology, (P)1226-9654; (E)2733-466X
2005, v.17 no.2, pp.171-183
박창호 (전북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전역 및 국지 처리와 공간주의 분포의 관계를 탐구하기 위해, 세 실험이 수행되었다. 복합낱자의 전역 혹은 국지 수준의 처리에 따라 공간주의의 크기와 분포 양상이 영향을 받는지가 검토되었다. 실험 1은 먼저 제시된 복합낱자의 전역 혹은 국지 수준에 대한 주의가 나중에 제시된 동그라미의 크기 판단에 영향을 주는지를 검토한 결과, 복합낱자의 전역 수준의 처리는 큰 원의 판단을 촉진시켰으며, 또한 국지 수준의 처리는 작은 원의 판단을 촉진시켰다. 실험 2는 다섯 국지 위치에 무선으로 제시되는 작은 원의 틈을 탐지하는 과제를 써서, 선행 복합낱자의 식별에 중요한 위치로 공간주의가 더 많이 주어지는지를 보았는데, 예상과 달리 중앙 위치에서의 탐지 수행이 가장 좋았다. 실험 3은 큰 ‘ㄱ’ 혹은 큰 ‘ㄴ’ 및 이와 유사한 복합낱자의 네 귀퉁이 각각에 작은 원을 제시하고 그 중 한 원에만 있는 틈의 방향을 탐지하게 하였는데, 복합낱자의 정점 위치에 있는 틈의 방향이 가장 잘 탐지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복합낱자에 대한 전역 혹은 국지 처리는 공간주의의 크기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경우에 따라 복합낱자의 특정 위치로 공간주의를 집중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keywords
전역, 국지, 복합낱자, 공간주의, 선행성, global, local, compound letter, spatial attention, precedence, global, local, compound letter, spatial attention, precedence

Abstract

Three experiments explored the effects of global and local processing on the distribution of spatial attention. In experiment 1, participants were asked to discriminate either a large or a small circle presented right after the display of the compound letter whose identity should be later reported. The result was that an attended level of the compound letter affected the size judgment of the target circle. Experiment 2 made participants detect the position of gap in a small circle to investigate whether spatial arrangement of compound letters would affect the specific location of spatial attention, with no convincing result. By presenting all the four small circles at once only one of which has the gap, experiment 3 showed that more spatial attention would be given to the vertex position of the compound letters than to the other posit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both global and local processing influence the size of spatial attention, and make shift local spatial attention to the informative area of the compound letter as well.

keywords
전역, 국지, 복합낱자, 공간주의, 선행성, global, local, compound letter, spatial attention, precedence, global, local, compound letter, spatial attention, precedence

참고문헌

1.

(1994) 착각 결합에 대한 국소조명적 주의설과 시각루틴설의 비교 검증,

2.

(1989) 분산주의 과제에서 자극속성과 선행성의 관계 1989년도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발표대회 논문초록,

3.

(2003) 전역 선행성 원리에 대한 한 반증 두 수준의 이심률이 동등한 경우에도,

4.

(1985) Allocation of attention in the visual field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5.

(1983) Spatial extent of attention to letters and words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6.

(1977) Forest before trees:The precedence of global features in visual Perception,

7.

(1991) Testing a queue hypothesis for the processing of global and local information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8.

(2004) Attention shift to a global and a local level of a form depends upon stimulus set ,

9.

(1993) Spatial attention and cuing to global and local levels of hierarchical structure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10.

(1982) Determinants of attention to local and global features of visual forms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