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색상 비율평정으로 확인한 한국인의 심리적 고유색

Psychological Unique Hues of Korean Identified by Hue Scaling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 The Korean Journal of Cognitive and Biological Psychology, (P)1226-9654; (E)2733-466X
2006, v.18 no.2, pp.71-87
박현수 (LG전자기술원)
이만영 (고려대학교)

초록

Hering의 대립색에 해당하는 심리적 고유색을 확인하기 위하여 색상비율평정에 기초한 두 개의 실험을 실시하였다. 최근에 색편선택과제를 사용하여 고유색을 확인하고자 한 오경기 등(2003)과 박현수 등(2005)의 국내 연구결과는 유사한 과제를 사용한 Kuehni(2001a)의 영어권 연구결과와 일부 색상에서 불일치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그러한 불일치가 실험과제의 차이 때문인지 아니면 언어에 따른 고유색 본래의 심리적 표상의 차이 때문인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다른 실험과제들을 사용하였다. 실험 1에서는 단색광을 이용한 고유색 연구에서 많이 사용되었던 단일색상 비율평정을 실험과제로 사용하였고, 실험 2에서는 Hering의 대립색 이론을 잘 반영한다고 할 수 있는 이중색상 비율평정을 실험과제로 사용하였다. 선행연구들과 마찬가지로 먼셀 색편을 실험자극으로 사용한 본 연구의 실험결과들은 Kuehni(2001a)의 연구결과보다는 오경기 등(2003)과 박현수 등(2005)의 연구결과에 더 가까웠다. 그러한 결과는 상이한 언어사용자들이 보이는 고유색 판단의 차이가 실험과제의 부산물이 아니라 심층 표상수준에서 비롯되었음을 시사한다. 상이한 언어사용자들에서 나타난 심리적 고유색의 불일치가 갖는 이론적 함의들을 논의하였다.

keywords
unique hues, single-hue scaling, double-hue scaling, unique hues, single-hue scaling, double-hue scaling, 고유색, 단일색상 비율평정, 이중색상 비율평정

Abstract

Two experiments based on hue scaling were conducted to identify the psychological unique hues corresponding to the opponent colors of Hering (1878)'s theory. Recently, Kuehni (2001a) used a color-chip selection task to identify the unique hues of English speakers and found different results from those of Oh et al. (2003) and Pak et al. (2005) where similar tasks were used with Korean speakers. The present set of experiments used different experimental tasks to ascertain whether the discrepancy between previous results was caused by task differences or genuinely different psychological representations of unique hues in speakers of different languages. Experiment 1 adopted a single-hue scaling paradigm frequently used in similar studies and Experiment 2 used a double-hue scaling paradigm that reflects Hering's opponent theory. Munsell color-chips were used in both tasks and the results supported the findings of Oh et al.(2003) and Pak et al.(2005) rather than those of Kuehni (2001a). The findings suggest that differences in unique hue judgments between speakers of different languages lie at a deep representational level and are not an artefact of the experimental task methodology. Theoretical implications of discrepant psychological unique hues across speakers of different languages are discussed.

keywords
unique hues, single-hue scaling, double-hue scaling, unique hues, single-hue scaling, double-hue scaling, 고유색, 단일색상 비율평정, 이중색상 비율평정

참고문헌

1.

(1998) 한국어 기본색이름과 색채공간 표상영역,

2.

(2001) 한국어 색이름의 먼셀색채공간 연구(I). ,

3.

(2005) 한국인들이 먼셀색채공간에서 지각하는 고유색과 초점색의 위치,

4.

(2003) 색상포함비율 평정에서 나타난 고유색의 특성,

5.

(1983) 색채명명법에 의한 심리적 요소색 연구,

6.

(1997) 한국인의 기본 색이름에 대응하는 색상에 관한 연구,

7.

(2002) 섬유패션색채의 한국어 계통색 이름체계 연구,

8.

(2005) 물체색의 색이름(KS A 0011). , 한국표준협회

9.

(1969)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their universality and evolution

10.

(1987) Locating Basic Colors in the OSA Space,

11.

(1999) Colour categories of a stone-age tribe,

12.

(1964) Outlines of a theory of the light sense Translated by L, Harvard University Press Orignal work published 1878

13.

(2003) Differences in color naming and color salience in Vietnamese and English.,

14.

(2001a) Determination of unique hues using Munsell color chips,

15.

(2001b) Focal colors and unique hues,

16.

(1972) Colour and colour terminology,

17.

(1992) Application of the single-hue naming method to the determination of elemental hues Advances in Color Vision Optical Society of America,

18.

(2003) Focal colors and unique hues,

19.

(1976) Universal language and dictionary of names,

20.

(1991) Sex- and age-related differences in colour vocabulary,

21.

(1966) Uniqueness of perceived hues investigated with a continuous judgmental technique,

22.

(2000) Variations in normal color vision. Ⅱ. Unique hues.,

23.

(1999) Color discrimination, color naming and color preferences in 80-year olds,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