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6-9654
  • E-ISSN2733-466X
  • KCI

지각적 부하 및 단서타당도에 따른 공간적 주의 할당 정도가 세부 특징의 선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patial attention via perceptual load or validity of spatial cue on the selection of features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 The Korean Journal of Cognitive and Biological Psychology, (P)1226-9654; (E)2733-466X
2006, v.18 no.2, pp.89-107
양혜진 (연세대학교)
김민식 (연세대학교)

초록

Remington과 Folk(2001)는 방해자극의 과제 관련 차원과 과제 무관련 차원이 각각 주의를 받았을 때 이 중 과제 관련 차원의 세부 특징만이 선택되어 표적자극에 대한 반응에 간섭을 일으킨다는 결과를 보고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주의와 선택이 반드시 함께 일어나지 않을 수 있다는 주장을 지지한다. 본 실험에서는 과제의 지각적 부하나 단서의 타당도가 과제와 관련 없는 자극의 선택에 영향을 준다는 이전 연구(Lavie & Cox, 1997; Johnson, McGrath, & McNeil, 2002)를 바탕으로 방해자극을 구성하는 세부 특징의 선택 여부가 공간적 주의의 할당 정도에 따라 달라지는지 알아보았다. 과제의 지각적 부하를 작게 또는 크게, 단서의 타당도를 낮게 또는 높게 조작하는 방법을 통해 주의의 할당 정도를 통제하였다. 과제의 지각적 부하를 작게 조작하였을 때에는 방해자극의 과제 관련 차원은 선택되고 과제 무관련 차원은 선택되지 않았다. 그러나 과제의 지각적 부하를 크게 조작하여 표적자극의 처리에만 자원이 집중되었을 때에는 방해자극이 주의를 받았을 때에도 과제 관련 차원과 과제 무관련 차원이 모두 선택되지 않았다. 단서의 타당도를 낮게 조작하였을 때에는 주의의 영향 없이도 방해자극의 과제 관련 차원은 선택되고 과제 무관련 차원은 선택되지 않았다. 단서의 타당도를 높게 조작하였을 때에는 방해자극이 주의를 받았을 때에만 방해자극의 과제 관련 차원이 선택되었으며, 표적자극과 중성자극이 주의를 받았을 때에는 과제 관련 차원과 과제 무관련 차원이 모두 선택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방해자극의 과제 관련 차원과 과제 무관련 차원의 선택 여부가 과제의 지각적 부하나 단서의 타당도에 따른 공간적 주의 할당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keywords
spatial attention, selection, perceptual load, 공간적 주의, 선택, 지각적 부하, spatial attention, selection, perceptual load

Abstract

Remington and Folk(2001) reported a dissociation between attention and selection by showing that not every dimension of attended stimulus was selected. In their experiments, the interference from attended foils (nontarget items) occurred in the task-relevant dimension but not in the task-irrelevant dimension when the response to a target conflicted with the responses to each foil dimension.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only the task-relevant dimension, but not the task-irrelevant dimension, of foils was selected when the foils were attended.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d whether the selection of the dimensions depended on the allocation of spatial attention. To manipulate the degree to which spatial attention is allocated, we used different degrees of perceptual load and cue predictability. When the perceptual load of task stimuli was low, the task-irrelevant dimensions of attended foils were not selected as in the Remington and Folk's experiments. When the perceptual load was high, however, either the task-relevant or task-irrelevant dimensions of the attended foils were not selected. Cue predictability also affected the dissociation. When the high informative cues appeared at the foil locations, only the task-relevant dimension was selected. When the high informative cues appeared at the locations of the target or the neutral, however, neither the task-relevant nor the task-irrelevant dimension of foil was select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selection of dimensions of foil can depend on the top-down mechanism and/or the allocation of spatial attention.

keywords
spatial attention, selection, perceptual load, 공간적 주의, 선택, 지각적 부하, spatial attention, selection, perceptual load

참고문헌

1.

(1984) Selective attention and the organization of visual information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2.

(1989) Visual search and stimulus similarity,

3.

(1992) Involuntary covert orienting is contingent on attentional control settings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4.

(2002) Cuing interacts with perceptual load in visual search.,

5.

(1984) Changing views of attention and automaticity Varieties of attention, Kahneman Academic Press

6.

(1999) Top-down and bottom-up attentional control; On the nature of interference from a salient distractor,

7.

(1997) On the efficiency of visual selective attention Efficient visual search leads to inefficient distractor rejection,

8.

(1999) Behavioral goals constrain the selection of visual information,

9.

(2001) A dissociation between attention and selection,

10.

(1996) Is there feature-based attentional selection in visual search? ,

11.

(1992) Using repetition detection to define and localize the processes of selective attention, MIT Press

12.

(1990) On the locus of visual selection Evidence from focused attention tasks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13.

(1984) Evidence from visual search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14.

(1984) Evidence from visual search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