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재귀대명사의 다의성 해소과정: 안구운동 분석

Ambiguity Resolution Processes of Reflexives:Eye-tracking Data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 The Korean Journal of Cognitive and Biological Psychology, (P)1226-9654; (E)2733-466X
2007, v.19 no.4, pp.263-277
https://doi.org/10.22172/cogbio.2007.19.4.001
최광일 (아주대학교)
김영진 (아주대학교)

초록

한국어 재귀대명사의 참조 다의성 해소 과정에 관한 기존 연구(김영진과 최광일, 2003, 실험 2)를 안구운동 추적 실험으로 반복하였다. 참조 다의성이 서로 다르게 해결될 수 있는 두 종류의 동사를 사용하였으며, 재귀 대명사 포함 문장을 읽어가는 과정에서 보이는 안구 운동을, 첫 통과 읽기시간, 다시 읽기시간, 눈동자의 회귀빈도 및 전체 읽기시간으로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첫 통과 읽기시간에서는 다의성이 해결되는 동사 영역에서 재귀대명사와 동사 종류간의 상호작용이 나타났다. 즉 ‘자기’는 주절의 주어를 참조할 때 빠른 읽기시간을 보였지만, ‘자신’은 읽기시간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다시 읽기시간에서는 삽입절 동사 위치에서, '자기’가 ‘자신’보다 빠른 읽기시간을 보였다. 눈동자의 회귀 빈도 역시, 삽입절 동사 위치에서 '자신' 조건이 유의하게 높은 빈도를 보였다. 전체 읽기시간 분석에서는 재귀대명사 ‘자기’가 ‘자신’보다 빠른 읽기시간을 보였으며, 다의성이 해결되는 동사 위치에서는 ‘자기’를 가진 문장이 ‘자신’을 포함한 문장 보다 빠른 읽기시간을 보였다. 특히 주절의 주어를 수식하는 경우에 보다 빠른 읽기시간을 보였다. 두 재귀대명사 '자기'와 '자신'이 서로 다른 언어학적 특성이 있으며, 전자는 주절의 주어를 선호하지만 후자는 특별한 선호를 보이지 않는 이유를 논의 하였다. 아울러 한국어의 안구 운동 자료 분석 절차를 상세히 소개하였다.

keywords
문장이해, 참조다의성 해소, 재귀대명사, 점진 처리, 안구운동, sentence comprehension, referential ambiguity resolution, reflexives, incremental process, eye-tracking

Abstract

This paper reported an eye-tracking experiment designed to probe how the reference ambiguities of Korean reflexive expressions are resolved during on-line processing. In Korean the reflexives (e.g., 'caki' 'casin') could refer both antecedent NPs in the sentences. We have compared two forms of the reflexive pronouns and the argument information of verbs that could make referential relations unambiguous and measured four indices of eye movements such as the first pass reading times, the re-reading times, the total reading time, and the regression frequency. First,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showed that participants have read ‘caki’ faster than ‘casin’ in the ambiguous region of sentences and in the disambiguation verb. Second, the ‘caki’ in the sentences with the reflexive that refer to main-clause subject were read faster than the sentences with the reflexive that refer to embedded-clause subject in the disambiguation region(i.e., verb). However, the ‘casin’ did not show any differences between the conditions. It was discussed that two different Korean reflexives might have different linguistic properties and their referential resolution processes might be determined by different principles.

keywords
문장이해, 참조다의성 해소, 재귀대명사, 점진 처리, 안구운동, sentence comprehension, referential ambiguity resolution, reflexives, incremental process, eye-tracking

참고문헌

1.

강범모 (1998). 문법과 언어 사용-코퍼스에 기반한 재귀사 ‘자기, 자신, 자기자신’의 기능 분석을 중심으로. 국어학, 31, 165-204.

2.

김영진과 최광일 (2003). 재귀대명사의 다의성 해소과정. 한국심리학회: 실험 및 인지, 15(2), 239-257.

3.

김영진, 최광일 및 임윤 (2004). 텍스트 읽기과정에서 보이는 안구운동: 관찰연구. 2004 한국 실험심리학회 겨울 학술 대회 발표 논문

4.

김용석 (1994). 재귀사 장거리 결속에 관한 자질점검이론적 접근. 언어연구, 12, 29-51.

5.

김용석 (2000). 재귀사의 형태-통사론적 분석: 최소주의적 접근. 현대문법연구, 19, 1-26.

6.

이춘길 (2005). 한글을 읽는 시선의 움직임. 서울: 서울대 출판부

7.

최광일 (2007). 독서이해과정의 개인차: 인지과제 수행과 안구운동 패턴. 미발표 아주대 박사 학위 논문.

8.

Badecker, W. & Straub, K. (2002). The processing role of structural constraints on the interpretation of pronoun and anaphors.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Learning, Memory, and Cognition, 28, 748-769.

9.

Clifton, C. (1990). Dataanal. (http://people.umass. edu/cec)

10.

Just, M. A., & Carpenter, P. A. (1987). The Psychology of Reading and Language Comprehension. Newton, MA: Allen and Bacon.

11.

Kim, Youngjin (2004). Resolving grammatical marking ambiguities of Korean: An Eye-tracking study.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15, 49-59.

12.

Koh, S. (1997). The resolution of the dative NP ambiguity in Korean. Journal of Psycholinguistic Research, 26, 265-273.

13.

Lee, Y, Lee, H, & Gordon, P. C. (2007). Linguistic complexity and information structure in Korean: Evidence from eye-tracking during reading. Cognition, 104, 495-534.

14.

Rayner, K. (1998). Eye movements in reading and information processing: 20 years of research. Psychological Bulletin, 124, 372-422.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