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자극의 색과 크기가 Glass 문양의 지각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Stimulus Color and Size on the Perception of the Glass Pattern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 The Korean Journal of Cognitive and Biological Psychology, (P)1226-9654; (E)2733-466X
1990, v.2, pp.1-11
구영애 (연세대학교 심리학과)
정찬섭 (연세대학교 심리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Glass문양의 발생에 대한 단순세포유사기제이론과 상징적처리기제이론을 비교하고, 신경생리학적 발견에 근거를 둔 단순세포유사기제이론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두 편의 실험이 수행되었다. 첫번째 실험에서는 가상선을 발생시키는 두 자극요소의 크기차이의 한계를 확인하고 이러한 크기차이의 한계를 단순세포의 수용야 크기로 설명할 수 있는가를 밝히고자 하였다. 실험결과, Glass문양의 두 대응되는 요소 중 한 요소의 크기가 원래의 크기인 0.03˚×0.05˚에서 0.14˚×0.14˚로 커질 때까지는 Glass문양이 출현하지만 그 이상의 크기에서는 Glass문양이 출현하지 않는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 결과 Hubel과 Wiesel(1968)이 원숭이의 줄무늬 피질에서 발견한 최대 크기의 단순세포(0.5˚×0.75˚)의 중심수용야 넓이는 0.16˚와 거의 일치함으로써 단순세포유사기제이론을 지지하는 증거라 할 수 있다. 두번째 실험에서는 Glass문양의 가상선 형성에 색정보가 유효한 자극속성이 되는가를 확인하기 위하여 같은색과 다른색으로 구성된 두 갈등관계에 있는 Glass문양, 대립색으로 된 Glass문양 및 명도대비가 다르지만 유사한 색으로 구성된 Glass문양을 가지고 가상선의 출현여부를 조사하였다. 실험결과, 색정보가 Glass문양의 지각에 유효한 자극속성이 되지만 그 효과가 매우 약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이러한 색정보의 미약한 효과는 두 자극의 유사성만으로는 Glass문양의 출현을 설명하기 어렵다는 것을 암시하며 그 보다는 색정보 처리 채널의 해상력이 약하다는 최근의 생리학적 연구발견에 잘 부합되는 현상이라 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실험결과는 Glass문양의 지각이 유사성 가정을 근본으로 하는 상징적처리기제이론보다는 단순세포유사기제이론에 의해 더 잘 설명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keywords

Abstract

Two experiments were performed to compare the powers of the two alternative explanations, the simple cell-like mechanism and the symbolic processing mechanism, for the perception of the Glass pattern. The first experiment tested the effect of size difference between the two pairwise elements in the Glass pattern. The Result shows that the structure of the Glass pattern persists untill the size of one of the pairwise dot elements is enlarged up to 0.14˚×0.14˚ from its original size of 0.03˚×0.05˚ but disappears beyond that range. This range coincides with the upper limit in the size dimension of the simple cells found by Hubel & Wiesel(1968) in the monkey striate cortex, which suggests that the simple cell-like mechanism may be responsible for the perception of Glass pattern. While the second experiment tested the effectiveness of color information as a relevant stimulus property in the perception of the Glass pattern and the result show that although color information might he a relevant stimulus property, its effect is so weak that the effect may readily disappear when the signs of luminance contrast are different. Such a weak effect of the same or similar color implies the symbolic processing mechanism based on the similarity between the two pairwise dot elements may be inadequate for explaining the perception of Glass pattern and the results could be more adequately explained by the recent physiological research findings reporting the low resolution power of the channel responsible for color information processing.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y that the perception of Glass pattern could be more adequately explained by the simple cell-like mechanism rather than the symbolic processing mechanism.

keywords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