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순막반응의 조건화에 관여하는 신경회로에서의 부외전핵의 역할

Role of Accessory Abducens Nucleus in the Neural Circuit of the Conditioned Nictitating Membrane Response in the Rabbit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 The Korean Journal of Cognitive and Biological Psychology, (P)1226-9654; (E)2733-466X
1990, v.2, pp.1-11
김현택 (고려대학교 심리학과)
이두현 (고려대학교 심리학과)
최준식 (고려대학교 심리학과)
김기석 (고려대학교 심리학과)

초록

토끼의 소뇌 중간핵에서 순막조건화 기간동안 다단위 기록을 하였다. 다단위 활동은 학습의 초기에는 조건자극과 무조건자극에 대한 유발반응만을 보였으나 학습이 진행됨에 따라 증가하였다. 이 다단위 활동을 회기별로 16msec bin 히스토그램을 작성하여 회기별 순막반응 평균치와 교차 상관값을 구하니 상당한 정도의 상관을 보였으며 더우기 다단위 활동의 히스토그램이 평균화된 순막반응을 수십 msec 앞섰다. 이런 결과는 중간핵의 다단위 활동이 학습의 신경적 지표가 되며 중간핵은 순막조건화의 신경적 근저가 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몇몇 연구에서는 부외전핵 또는 외전핵에 무조건 자극으로 전기자극을 주어 순막조건화가 가능하였다고 보고하고 있으므로 본 연구는 이 부외전핵이 단순한 반응의 출력핵에 불과한지 또는 습득된 순막조건화의 파지에 필요한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그래서 조건화정도의 지표로서 행동적 순막반응과 중간핵 다단위 활동의 히스토그램을 관찰하면서 학습이 진행된후 부외전핵을 손상시켰다. 손상후 행동적 순막반응은 크게 감소하거나 사라졌지만 중간핵에서의 다단위 활동은 여전히 형성된 순막조건화가 건재함을 보여 주었다. 이 결과로서 부외전핵은 단순운동출력핵이며 순막조건화의 파지에 관여하는 부위가 아니라고 결론지었다.

keywords

Abstract

Multiple unit activity(MUA) was recorded from the cerebellar dentato-interpositus nucleus during classical conditioning of the nictitating membrane response(NMR) in the rabbit with a tone conditioned stimulus(CS) and an airpuff unconditioned stimulus(US). The MUA was processed to 16msec bin histogram and the NMR was averaged in each session respectively. The result showed that The averaged NMR was highly correlated with the histogram and that the histogram of MUA preceded the averaged NMR by several tens millisecond. This supports the previous reports that dentato-interpositus nucleus may be the neural substrate of the NMR conditioning. In some studies, it was reported that the stimulation of accessory abducens nucleus as US can support the NMR conditioning. So, one purpose of this study was the examination of the role of accessory abducens nucleus in the NMR conditioning. Following days of aquisition, the nucleus was lesioned electrolytically. The result showed that the lesion abolished both conditioned and unconditioned responses, but MUA recorded from deutatointerpositus nucleus maintains the same level as it prior to lesion. Results suggest that accessory abducens nucleus is merely motor output nucleus and isn't involved in the retention of the NMR conditioning.

keywords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