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낯선 형태에 대한 연상이 비표적 형태의 지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ssociation to an Unfamiliar Form on the Perception of Unattended form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 The Korean Journal of Cognitive and Biological Psychology, (P)1226-9654; (E)2733-466X
2010, v.22 no.2, pp.161-176
https://doi.org/10.22172/cogbio.2010.22.2.003
김희정 (서울대학교)
김정오 (서울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형태의 지각과 용량으로서 주의의 관계를 검토하였다. 참여자들은 중첩된 낯선 형태 중 방해자극을 무시하면서 표적을 지시에 따라 처리한 후 예상외의 재인검사를 받았다. 실험 1은 단순하게 중첩된 자극과 복잡하게 중첩된 자극의 조건, 그리고 연상된 물체를 범주화 시키는 지시와 구조를 비교하는 지시 조건에서 방해자극인 비표적 형태를 지각할 수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참여자들은 대부분의 조건에서 비표적 형태를 재인하였다. 참여자들이 지시를 확실히 따르도록 하기 위하여 실험 2는 순차적인 연상성 지시문을 활용하였다. 그 결과, 네 조건 중 세 조건에서 비표적이 재인되었다. 실험 1과 2에서 표적 형태의 재인율과 비표적 형태 재인율 간에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없었다. 본 연구의 결과들은 표적을 처리하고 남은 용량이 비표적 형태의 지각에 기여했음을 시사한다.

keywords
낯선 형태, 중첩 자극, 연상성, 중첩인상, 주의 용량, 무주의맹, overlapping novel figure, associability, overlap complexity, attention capacity, inattention blindness

Abstract

Two experiments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attention capacity and shape perception. In Experiment 1, participants performed an incidental learning task in which they evaluated an attended shape with one of two associability instructions, while ignoring an unattended shape. The difficulty of the target shape was also varied in two conditions, overlapped in a few versus multiple places. Experiment 1 demonstrated that the participants in all conditions showed perception of the unattended novel form. To control participants' intention implementation, a sequential associability instruction was used in Experiment 2. Three of all four conditions showed evidence for perception of unattended form.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attended and unattended shape recognition rates in two experiments was observed. These findings suggest that residual capacity is responsible for perception of the unattended form.

keywords
낯선 형태, 중첩 자극, 연상성, 중첩인상, 주의 용량, 무주의맹, overlapping novel figure, associability, overlap complexity, attention capacity, inattention blindness

참고문헌

1.

김일국 (2005). Effects of dynamic allocation of capacity on the negative priming effect. 석사학위 청구논문. 서울대학교.

2.

송유설 (2009). 무주의 상태에서 낯선 형태가 지각되는가. 석사학위 청구논문. 서울대학교.

3.

조현욱, 김정오 (2010). 표적 형태의 내적/외적 구조의 약호화가 무주의 형태의 지각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22, 59-73.

4.

Baddely, A. D., & Hitch, G. (1974). Working memory. In G. H. Bower(Ed), The psychology of learning and motivation(vol. 8, pp17-90): Orlando, FL: Academic Press.

5.

Bruner, J. Goodnow, J., & Austin, A. (1956). A study of thinking. New York: Wiley.

6.

Duncan, J. (1984). Selective attention and the organization of visual information.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General, 113, 501-517.

7.

Gollwitzer, P. M. (1999). Implementation intentions. American Psychologist, 54, 493-503.

8.

Kahneman, D. (1973). Attention and Effort. NJ; Prentice-Hall.

9.

Lachter, J., Forster, K. I., & Ruthruff, E. (2004). Forty-five years after Broadbent: Still no identification without attention. Psychological Review, 111, 880-913.

10.

Rock, I., & Gutman, D. (1981). The effect ot inattention on form perception.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Human Perception and Performance, 7, 275-285.

11.

Song, J. H. & Kim, J.-O. (2000). The effect of stimulus-dependent capacity allocation on negative priming. The 20th Summer Conference in the Korean Experimental and Cognitive Psychology Association.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