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6-9654
  • E-ISSN2733-466X
  • KCI

한국어 명사 어절의 처리 과정

Processing of Korean Noun Eojeols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 The Korean Journal of Cognitive and Biological Psychology, (P)1226-9654; (E)2733-466X
2010, v.22 no.4, pp.621-638
https://doi.org/10.22172/cogbio.2010.22.4.011
민승기 (영남대학교)
이광오 (영남대학교)

초록

명사 어절(예, 학교에)이란 명사(학교)에 조사(에)가 결합된 어절을 말한다. 명사 어절의 처리 과정을 조사하고자, 점화 패러다임을 이용하는 두 개의 실험을 실시하였다. 어절을 점화 자극으로 제시하여, 실험 1에서는 표적 단어, 실험 2에서는 표적 어절에 대한 판단 반응을 관찰하였다. 점화 어절이 차폐되어 방략적 처리가 불가능하였음에도, 실험 1의 명사 일치 관계(예, 개인의―개인)와 실험 2의 명사 일치 관계(예, 가격이―가격을)에서 촉진적인 점화효과가 있었다. 이것은 점화 어절을 명사와 조사로 분리하고 활성화하는 것이 매우 신속하게 일어남을 시사한다. 실험 2에서, 점화 어절이 차폐되었을 때에는 어절 일치 조건(예, 가격을―가격을)과 명사 일치 조건(예, 가격이―가격을)에서 점화량이 대등하였으나, SOA가 200㎳이었을 때에는 전자에서의 점화량이 더 크게 나타났다. 조사 일치 조건(예, 여론을―가격을)에서는 점화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어절 일치 조건에 조사 중첩의 영향이 유리하게 작용하였다기보다는, 분리 처리되었던 명사와 조사의 재결합으로 어절 단위의 요인이 개입한 것이 원인이었을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결과들은 명사 어절의 처리가 분리와 재결합의 과정을 통하여 이루어짐을 시사한다.

keywords
단어 인지, 명사 어절, 어휘 분리, 독서, word recognition, noun eojeol, lexical decomposition, reading

Abstract

A Korean noun eojeol (hakkyo'ei) is a combination of a noun (hakkyo) and a particle (ei). Early studies suggested that a noun eojeol was decomposed into a noun and a particle before accessing the pre-existing mental lexicon.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representation and processing of eojeols using the primed lexical decision and eojeol judgment tasks. Response times to target words (Exp. 1) and target eojeols (Exp. 2) were measured. In Exp. 1, it was found that even the masked eojeol primes facilitated the responses to the target nouns which were the same one as included in the priming eojeols (kai'in'ui—kai'in). This result supports the possibility that decomposition and activation of noun might take place at the earliest stage of eojeol processing. In Exp. 2, in the condition of masked prime, priming effects were almost the same between pairs sharing the same eojeol (kakyek'ul—kakyek'ul) and pairs sharing only noun (kakyek'i—kakyek'ul), but in the SOA 200㎳ condition, priming effects were significantly larger for the same eojeol pairs than the same noun pairs. The former result suggests that there might be no pre-existing store for eojeols, and the latter one indicates that an eojeol representation is formed by combining a noun and a particle at a later stage. Other issues related to Korean eojeol representation and processing were discussed with reference to word recognition and sentence comprehension.

keywords
단어 인지, 명사 어절, 어휘 분리, 독서, word recognition, noun eojeol, lexical decomposition, reading

참고문헌

1.

고성룡, 홍효진, 윤소정, 조병환 (2008). 우리글 명사 어절에서의 단어 빈도 효과: 안구운동 추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실험, 20(1), 21-37.

2.

김민수, 하동호, 고영근 (1977). 역대한국문법대계. 서울: 탑출판사.

3.

김흥규, 강범모 (2000). 한국어 형태소 및 어휘사용빈도의 분석.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4.

남기심, 고영근 (1985). 표준국어문법론. 서울: 탑출판사.

5.

민승기, 이광오 (2005a). 한국어 명사 어절 처리에서의 빈도 효과. 한국실험심리학회 겨울학술대회 발표 논문집, 79-83.

6.

민승기, 이광오 (2005b). 한국어 명사 어절 처리에서의 어휘 근접 과정.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발표 논문집, 57-62.

7.

박권생, 이광오, 아베 준이치, 류 잉 (2008). 한자어의 표상과 처리에 관한 언어 간 비교 연구: 음운부호 생성과정. 한국심리학회지: 실험, 20(3), 165-179.

8.

박정규 (2003). 국어 띄어쓰기 규정의 재검토. 시학과 언어학, 6, 231-258.

9.

송철의 (2006). 국어 형태론 연구의 문제점. 배달말, 39, 117-141.

10.

이기갑 (1990). 한국어의 어절 구조. 언어연구, 2, 1-10.

11.

이홍식 (2003). 교착소의 설정과 관련된 몇 가지 문제. 한국어학, 21, 269-297.

12.

임형욱, 임희석, 남기춘 (2003). 한국어 용언과 체언 어절의 형태소 정보 처리 특성. 한국인지과학회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192-194.

13.

임홍빈 (1997). 국어 굴절의 원리적 성격과 재구조화: ‘교착소’와 ‘교착법’의 설정을 제안하며. 관악어문연구, 22, 93-163.

14.

Alario, F. X., Ayora, P., & Costa, A. (2008). Grammatical and nongrammatical contributions to closed-class word selection.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Learning, Memory, and Cognition, 34(4), 960-981.

15.

Baayen, R. H., Dijkstra, T., & Schreuder, R. (1997). Singulars and plurals in Dutch: Evidence for a parallel dual-route model. Journal of Memory and Language, 37, 94-117.

16.

Bird, H., Franklin, S., & Howard, D. (2002). ‘Little words’―not really: Function and content words in normal and aphasic speech. Journal of Neurolinguistics, 15, 209-237.

17.

Butterworth, B. (1983). Lexical representation. In B. Butterworth (Ed.), Language production (Vol. 2, pp.257-294). New York: Academic Press.

18.

Caramazza, A., Laudanna, A., & Romani, C. (1988). Lexical access and inflectional morphology. Cognition, 28, 297-332.

19.

Forster, K. I. (1998). The pros and cons of masked priming. Journal of Psycholinguistic Research: Special Issue, 27(2), 203-233.

20.

Forster, K. I., & Forster, J. C. (2003). DMDX: A WINDOWS display program with millisecond accuracy. Behavior Research Method, Instruments, and computer, 35, 116-124.

21.

Kinoshita, S., & Lupker, S. J. (2003). Masked priming: The state of art. New York, NY: Psychology Press.

22.

Laine, M., Niemi, J., Koivuselkä-Sallinen, P., & Hyönä, J. (1995). Morphological processing of polymorphemic nouns in a highly inflecting language. Cognitive neuropsychology, 12, 457-502.

23.

Laudanna, A., Cermele, A., & Caramazza, A. (1997). Morpho-Lexical representation in naming. Language and Cognitive Processes, 12, 49-66.

24.

Lehtonen, M., & Laine, M. (2003). How word frequency affects morphological processing in monolinguals and bilinguals. Bilingualism: Language and Cognition, 6, 213-225.

25.

Niemi, J., Laine, M., & Tuominen, J. (1994). Cognitive morphology in Finnish: foundations of a new model. Language and cognitive processes, 3, 423-446.

26.

Pinker, S. (1991). Rules of language. Science, 253, 530-535.

27.

Schiller, N. O., & Costa, A. (2006). Different selection principles of freestanding and bound morphemes in language production.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Learning, Memory, and Cognition, 32(5), 1201-1207.

28.

Schreuder, R., & Baayen, R. H. (1995). Modelling morphological processing. In L. B. Feldman (Ed.), Morphological aspects of language processing (pp.131-154). Hillsdale, New Jersey: Lawrence Erlbaum.

29.

Taft, M. (1994). Interactive-activation as a framework for understanding morphological processing. Language and Cognitive Processes, 9, 271-294.

30.

Taft, M., & Forster, K. (1975). Lexical storage and retrieval of prefixed words. Journal of Verbal Learning and Verbal Behavior, 14, 638-647.

31.

Zhou, X., Marslen-Wilson, W., Taft, M., & Shu, H. (1999). Morphology, orthography, and phonology in reading Chinese compound words. Language and Cognitive Processes, 14, 525-565.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