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한글 단어 인지 과정에서 유사어 효과

The Neighborhood Effects in Hangul Word Recognition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 The Korean Journal of Cognitive and Biological Psychology, (P)1226-9654; (E)2733-466X
2011, v.23 no.4, pp.639-651
https://doi.org/10.22172/cogbio.2011.23.4.010
이광오 (영남대학교)

초록

Coltheart, Davelaar, Jonasson 및 Besner(1977)은 길이가 동일하고 철자만 하나 다른 영어 단어들을 이웃(neighbor)이라 정의하고 이웃의 크기나 빈도가 단어 재인에 영향을 미친다는 주장을 하였다. 본 연구는 한글 표기 단어의 재인에서 이웃 단어를 어떻게 정의해야 하는지 결정하기 위하여, 점진적 탈차폐법(progressive demasking)을 이용하여 2음절 단어를 제시하고, 오반응을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Coltheart 등(1977)이 주장하는 바와 매우 달랐다. 우선, 한글 단어에서는 자모뿐만 아니라 글자 유형이 매우 중요한 요소일 가능성이 드러났다. 또한 초성 자모가 다른 자모들보다 더 중요함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의미적 요인의 효과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는데, 이는 단어 재인의 초기 단계에서 표기 처리의 중요성을 시사하는 Coltheart 등을 지지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결과는, 이웃을 정의하는 특성을 단 하나의 자모에 한정하고 있는 Coltheart 등과 달리, 철자 이웃의 특성이 여러 위치와 단위에 분산되어 있음을 시사하고 있으며, 이는 단어의 ‘이웃성’의 정도가 언어에 따라서 서로 다를 수 있음에 주의할 것을 요구한다.

keywords
단어 재인, 이웃, 한글, 글자 유형, word recognition, neighborhood, Hangul, Kulja type

Abstract

Coltheart, Davelaar, Jonasson, & Besner (1977) insisted that word recognition can be regulated by the number and frequency of neighbors, which are defined as words that have the same length as a word in question and have only one different letter. The present study adopted the progressive demasking method to collect error responses that could reveal competing neighbors of a stimulus word. The collected errors were analysed to find clues to how to define neighborhood in the processing of Korean bisyllabic words. The results obtained were different from what was assumed by Coltheart et al. First, Kulja type as well as letter was found to be critical in activating neighbors. Initial letter was more important than middle and final letters in a syllable. However, semantic effects were not significant implying that orthographic factors prevails in the initial stage of word recognition, which is consistent with Coltheart et al. In sum, the results suggest that orthographic neighbors in Korean word recognition should be defined in multiple dimensions using strokes, letters, Kuljas, Kulja types, and so forth.

keywords
단어 재인, 이웃, 한글, 글자 유형, word recognition, neighborhood, Hangul, Kulja type

참고문헌

1.

권유안, 남기춘 (2007). 한국어 시각단어재인에서 의미 이웃크기 효과. 대한음성학회, 한국음성과학회 공동학술대회 발표논문집, 173-175.

2.

권유안, 남기춘 (2011). 한글 음절 이웃 효과에서 한자어 형태소의 영향: 표기 및 음운 이웃과 한자어 이웃과의 관련성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23, 301- 319.

3.

권유안, 박창수, 남기춘 (2006). 한국어 시각 단어 재인에서 음운, 철자이웃 크기 효과. 한국인지과학회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47- 51.

4.

권유안, 조혜숙, 김충명, 남기춘 (2006). 한국어 시각단어재인에서 나타나는 이웃효과. 말소리, 60, 29-45.

5.

권유안, 조혜숙, 남기춘 (2006). 한국어 단어재인에서 나타나는 이웃효과. 대한음성학회 춘계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117-120.

6.

조혜숙, 남기춘 (2002). 한국어 단어재인의 이웃(neighborhood) 단위. 대한음성학회 학술대회지, 97-100.

7.

이광오, 배성봉 (2009). 한국어 고유어의 인지에서 형태소 처리.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21, 233-247.

8.

이광오, 이인선 (1999). 한글단어의 인지과정에서 형태소 정보처리. 한국심리학회지: 실험 및 인지, 11, 77-91.

9.

Andrews, S. (1989). Frequency and neighborhood effects on lexical access: Activation or search?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Learning, Memory, and Cognition, 15, 802-814.

10.

Dufau, S., Stevens, M., & Grainger, J. (2008). Windows executable software for the progressive demasking task. Behavior Research Methods, 40, 33-37.

11.

Coltheart, M., Davelaar, E., Jonasson, J. T., & Besner, D. (1977). Access to the internal lexicon. In S. Dornic (Ed.), Attention and performance VI (pp.535-555). New York: Academic Press.

12.

Forster, K. I., & Forster, J. C. (2003). DMDX: A windows display program with millisecond accuracy. Behavior Research Methods, Instruments, & Computers, 35, 116-124.

13.

Grainger, J., & Segui, J. (1990). Neighborhood frequency effects in visual word recognition: A comparison of lexical decision and masked identification latencies. Perception & Psychophysics, 47, 191-198.

14.

Grainger, J., Muneaux, M., Farioli, F., & Ziegler, J. C. (2005). Effects of phonological and orthographic neighbourhood density interact in visual word recognition. The Quarterly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58A, 981-998.

15.

Lee, C. H., & Taft, M. (2011). Subsyllabic structure reflected in letter confusability effects in Korean word recognition. Psychonomic Bulletin & Review, 18, 129–134.

16.

Mathey, S., & Zagar, D. (2002). Lexical similarity in visual word recognition: The effect of syllabic neighborhood in French. Current Psychology Letters: Behavior Brain & Cognition, 8, 107-121.

17.

Mathey, S., Zagar, D., Doignon, N., & Seigneuric, A. (2006). The nature of the syllabic neighborhoods effect in French. Acta Psychologica, 123, 372-393.

18.

Miller, G. A. (1991). The science of words. NY: Scientific American Libaray.

19.

Perea, M., & Lupker, S. J. (2004). Can CANISO activate CASINO? Transposed-letter similarity effects with non-adjacent letter positions. Journal of Memory and Language, 51, 231-246.

20.

Sears, C. R., Hino, Y., and Lupker, S. J. (1995). Neighborhood size and neighborhood frequency effects in word recognition.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21, 876-900.

21.

Yates, M., Locker, L., & Simpson, G. B. (2004). The influence of phonological neighborhood on visual word perception. Psychonomic Bulletin and Review, 11, 452-457.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