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흰쥐의 조건공포 반응에서 내측 중격핵의 역할

The Role of Medial Septum in Conditioned Fear in the Rats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 The Korean Journal of Cognitive and Biological Psychology, (P)1226-9654; (E)2733-466X
1991, v.3, pp.22-31
정봉교 (영남대학교 심리학과)
박진영 (영남대학교 심리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흰쥐의 조건공포 획득 및 수행에 있어서, 내측 중격핵의 역할을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공포 조건형성과제는 명·암 선택과제가 사용되었는데, 흰쥐를 검은 상자에 감금하고 20초 간격으로 3회 0.75초간 지속되는 1mA 강도의 전기충격이 제시되는 훈련시행과 24시간후 검은 상자에 대한 선택행동을 측정하는 검사시행으로 구성된다. 검사시행 직전에 내측 중격핵에 lidocaine이 주입된 동물들은 통제군 동물에 비해 검은 상자로 빨리 들어갔고 그리고 검은 상자를 선택한 시간이 길었다(실험 1). 검사 시행 직전에 내측 중격핵에 벤조디아제핀 수용기 효능제(diazepam)와 역전 효능제(β-CCM)를 주입받은 동물들은 통제군 동물에 비해 검은 상자로 빨리 들어갔다. 역전효능제의 경우에는 기대와 반대되는 결과가 나타났다(실험 2). 이 결과들은 내측 중격핵이, 조건공포의 획득보다는 수행에 관여한다는 가설로서 설명될 수 있다. 따라서 내측 중격핵의 기능방해는, 공포의 획득보다는 조건화된 공포장면에서 행동억제를 제거하여, 불안반응을 감소시킬 가능성을 시사해 준다.

keywords

Abstract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role of medial septum in the acquisition and peformance of conditioned fear in rats.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in the modified light/dark choice procedure. On the first training day, each animal was enclosed in the dark compartment and given a series of 3 footshocks at 20 ses intervals. During the second testing day, the animals were placed in the light compartment and allowed to choose the 2 compartment for 10 minutes. In Experiment 1, the infusion of lidocaine into the medial septum before testing decreased the latency to enter into the dark compartment and increased the time spent by rats in the dark compartment. In Experiment 2, the infusions of diazepam and β-CCM into the medial septum before testing decreased the latency to cross into the dark box. So, the mediating role of medial septal benzodiazepine receptors in the conditioned fear was uncertain. It may be the case that medial septum is much involved in the performance of conditioned fear. It is also suggested that the functional blockade of medial septum reduced anxiety through a disinhibition of the inhibitory avoidance following aversive conditioning.

keywords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