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전측 도미각피질손상이 리듐으로 야기된 미각혐오학습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esions of Anterior Insular Gustatory Neocortex on Taste Aversion Learning induced by LiCl in the Rat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 The Korean Journal of Cognitive and Biological Psychology, (P)1226-9654; (E)2733-466X
1991, v.3, pp.41-52
윤영화 (고려대학교 심리학과)
김기석 (고려대학교 심리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에서는 쥐에서 조건자극으로 사카린용액을 제시한 후 무조건자극으로 리듐클로라이드를 복강주사하여 야기시킨 미각혐오학습에서 전측 도미각피질의 역할을 밝히고자 하였다. 우선 정상동물에게서 사카린에 대한 미각혐오학습을 확인하고자 실험 1에서는 정상동물을 실험조건집단과 통제조건집단으로 나누어 두 집단의 피험동물에게 사카린용액을 제시한 직후 통제조건동물에게는 생리식염수, 실험조건동물에게는 리듐클로라이드를 복강주사하였다. 그 다음날 사카린용액을 제시하여 실험조건동물에게서만 사카린에 대한 미각혐오학습이 강하게 형성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 2에서는 미각혐오학습에 중요한 뇌구조물을 밝히기 위하여 전측도미각피질이나 그 배측에 있는 체성미각피질을 손상시킨 후 사카린용액을 제시한 직후 리듐클로라이드를 주사하여 미각혐오학습을 습득시켰다. 실험결과, 검사 1일째에서는 전측 도미각피질손상군의 사카린 섭취량이 체성미각피질군이나 유사시술통제군에 비해 유의미한 차이가 나지 않았으나 검사 2, 3, 4일째에서는 다른 두 집단에 비해 사카린 섭취량이 유의미하게 많이 소거가 촉진되었음을 나타내었다. 실험 3에서는 조건자극인 사카린용액제시와 무조건자극인 리듐클로라이드 복강주사간 제시간격을 30분으로 하여 전측 도미각피질 손상이 미각혐오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실험 3의 결과, 전측 도미각피질이 손상된 피험동물은 검사 1일째부터 유사시술 통제군에 비해 사카린을 많이 섭취하여 습득에서 결함을 나타내었으며 소거도 촉진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전측 도미각피질이 미각혐오 학습의 습득과 소거과정에 중요한 뇌구조물임을 나타낸다.

keywords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swer the question of whether anterior insular gustatory neocortex(AIGN) is critically involved in the acquisition and extinction of conditioned taste aversion(CTA) induced by LiCl in the rat. In experiment 1, a CTA was produced by pairing 0.2% saccharin solution CS with 0.15M LiCl US in the normal experimental group. In experiment 2, rats lacking AIGN, rats lacking somatic gustatory neocortex(SGN) and sham-operated rats were presented saccharin solution followed immediately by LiCl injection. When tested for CTA, in test trial 1 all subjects of 3 groups showed good acquisition but in test trial 2, 3, 4, rats lacking AIGN showed a faster extintion compared to ones lacking SGN and sham-operated ones. In experiment 3, saccharin solution CS was followed 30 minutes by LiCl. Rats lacking AIGN showed CTA acquisition deficit in test trial 1 and showed a faster extinction in test trial 2, 3, 4. The results indicate that AIGN is involved in the acquisition and extinction of taste aversion learning.

keywords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