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6-9654
  • E-ISSN2733-466X
  • KCI

한국어 문장 읽기 시의 띄어쓰기의 효과: 복합명사구 연구

The Effect of Spacing in Korean Sentence Reading: A Study using Compound Noun Phrases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 The Korean Journal of Cognitive and Biological Psychology, (P)1226-9654; (E)2733-466X
2021, v.33 no.2, pp.107-119
https://doi.org/10.22172/cogbio.2021.33.2.003
이상민 (광주과학기술원)
김다현 (광주과학기술원)
최원일 (광주과학기술원)

초록

한국어 맞춤법 규정에서 복합어 띄어쓰기는 상당히 복잡하고 모호한 문제이다. 좀 더 명확하며 읽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맞춤법 규정을 확립하기 위해선 경험적인 연구결과들을 많이 축적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자연스러운 글 읽기 시 한국어 복합 명사구의 이해에 띄어쓰기가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2음절 단어 두 개 또는 세 개가 합쳐져 형성된 복합 명사구들 중, 현행 맞춤법 규정상 띄어쓰기를 해도 되고 안 해도 되는 복합명사구들을 자극 재료로 사용하였다. 이 복합명사구들은 같은 문장 안에서 띄어쓰기 여부가 조작되었다. 참가자들은 각 시행마다 하나의 복합명사구가 포함된 문장 하나를 읽고, 문장에 대해 참 또는 거짓을 판단하는 간단한 문제에 응답했다. 그 동안 실험 참여자의 안구운동이 기록되었다. 실험 결과는 전반적으로 복합 명사구 띄어쓰기를 한 조건이 그렇지 않은 조건에 비해 총 읽기시간(total time, TT) 등의 여러 안구운동 측정치들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더 긴 것으로 나타났다. 두 조건 간 참/거짓 문제에 대한 정답률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므로 문장 이해 정도에는 주목할 만한 차이가 없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실험에 사용된 유형의 복합어(2음절×2, 2음절×3)의 경우, 띄어쓰기를 하지 않았을 때 더 빠른 정보처리를 하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흥미롭게도 주시시간(gaze duration, GZD)에 대해 복합어의 구성단어수와 띄어쓰기 여부간의 상호작용이 나타났으며, 다른 측정치들에서도 유사한 경향이 관찰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바탕으로 복합어의 길이나 구성에 따라 띄어쓰기의 효과가 달라질 가능성이 있음을 제안하였다.

keywords
띄어쓰기, 복합 명사구, 한글 읽기, 안구운동, inter-word spacing, compound noun phrase, Korean reading, eye movements

Abstract

Compound word spacing is quite a complex and ambiguous issue in Korean grammar. To establish a more clear and efficient grammar, many empirical findings need to be accumula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spacing affects the understanding of Korean compound nouns when reading natural sentences. In this study, compound nouns formed by combining two or three constituents(each word that makes up a compound noun has two syllables) were used as stimuli, which are permitted in both spaced and unspaced forms under the current Korean grammar rules. These manipulated compound noun phrases were embedded in same sentences. Participants read a sentence containing a compound noun phrase for each trial and responded to a simple question of judging true or false about the sentence. In the meantime, the eye movements of the participants were recorded. The overall results showed that the spaced conditions were longer in several eye movement measures such as the total time(TT) compared to the unspaced condition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rrect rate of true/false questions between the two conditions, so it was plausible that there was no notable difference in the degree of comprehension of sentences. Therefore, we concluded that for the type of Korean compound word used in the experiment (2syllables × 2, 2syllables × 3), information is processed faster when not spaced. Interestingly, we also found the interaction between the number of constituent words in compound words and the existence of space on the gaze duration(GZD), and similar tendencies on other eye movement measures were observed.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effect of spacing may vary depending on the length or composition of compound words.

keywords
띄어쓰기, 복합 명사구, 한글 읽기, 안구운동, inter-word spacing, compound noun phrase, Korean reading, eye movements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