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6-9654
  • E-ISSN2733-466X
  • KCI

정보 노출 상황에서의 P300-기반 숨김정보검사

The P300-based Concealed Information Test in the situation of Information Leakage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 The Korean Journal of Cognitive and Biological Psychology, (P)1226-9654; (E)2733-466X
2021, v.33 no.3, pp.201-220
https://doi.org/10.22172/cogbio.2021.33.3.007
황슬기 (경기대학교)
김영윤 (경기대학교)

초록

본 연구는 정보 노출에 대한 P300-기반 숨김정보검사의 한계점을 극복하고자 허위정보(misleading information)와 문장을 사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허위정보는 피험자에게 범죄와 관련되어 있다고 고의로 노출시킨 정보로, 실제로는 범죄와 관련이 없는 정보를 의미한다. 피험자는 크게 모의 범죄를 수행함으로써 범죄관련정보를 습득하거나(유죄집단, n=58), 모의 범죄를 설명한 동영상을 시청함으로써 범죄관련정보를 습득하는(정보노출-무죄집단, n=53) 두 개의 집단으로 나누어졌다. 각 집단은 다시 뇌파 검사가 진행되기 전에 허위정보에 노출되는 지에 따라 통제조건, 한 개의 허위정보에 노출되는 조건, 두 개의 허위정보에 노출되는 조건의 세 가지 조건으로 분류되었다. 뇌파검사가 진행되는 동안 주어/목적어/동사 구조의 문장이 자극으로 제시되었다. 유죄집단은 목적어와 서술어에서 허위정보 조건에 상관없이 탐침자극과 무관련자극 간에 유의미한 P300 진폭 차이가 나타났다. 정보노출-무죄집단의 경우 목적어와 서술어에 대해 통제조건에서만 탐침자극에 대한 높은 P300 진폭이 나타났으며, 허위정보에 노출되었을 때에는 탐침자극의 P300 진폭이 감소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허위정보가 P300-기반 숨김정보검사에서 정보노출-무죄집단에 대한 허위긍정오류(false positive)를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임을 나타내며, 허위정보의 개수가 증가하여도 효과적임을 보여준다.

keywords
Concealed Information Test, P300, misleading information, constituent of sentence, CIT effect, 숨김정보검사, P300, 정보노출, 허위정보, 문장 분석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thod resistant to information leakage in P300-based concealed information test using misleading information and Korean sentences. The misleading information is intentionally introduced to participants as a crime-related item. Participants acquired crime-related knowledge either by committing mock crime (guilty group, n=58) or watching a video that describes a mock crime (informed-innocent group, n=53). Each group was divided into three conditions by exposing to misleading information before the concealed information test : control, 1-misleading information, 2-misleading information. During the concealed information test, the sentence stimuli were presented in subject-object-verb ord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300 amplitude between the probe and irrelevant stimuli for object and verb elements regardless of misleading information condition in the guilty group. In the informed-innocent group, the probe stimulus elicited larger P300 amplitude compared to irrelevant stimuli for object and verb elements only in the control condition, but not in the 1-misleading information and 2-misleading information condi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misleading information in the P300-based concealed information test is effective in reducing false positive outcomes of informed-innocents, even that the number of misleading information increases.

keywords
Concealed Information Test, P300, misleading information, constituent of sentence, CIT effect, 숨김정보검사, P300, 정보노출, 허위정보, 문장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