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다차원적 충동성 척도(UPPS-P)의 뇌 연결성-기반 타당화

Brain Connectivity-based Validation of Trait Impulsivity Scale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 The Korean Journal of Cognitive and Biological Psychology, (P)1226-9654; (E)2733-466X
2022, v.34 no.2, pp.49-66
https://doi.org/10.22172/cogbio.2022.34.2.002
곽세열 (부산대학교 심리학과)
이다솜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조수연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최진영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특질 충동성은 아동·청소년기의 주의력 결핍, 품행장애, 물질사용 등과 같은 문제를 설명하는 심리적 구성개념으로 알려져 있다. 뇌 영상 기법을 활용하여 청소년기 충동적 행동과 관련된 뇌 구조와 기능에 대한 신경과학적 상관물이 밝혀져 왔으나, 자기보고식 척도를 통해 측정되는 특질 충동성이 어떤 신경생물학적 기반을 반영하는지 알려진 바가 적다. 본 연구에서는 63명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다차원적 충동성 척도(UPPS-P)와 휴지기 자기공명영상(resting state fMRI) 자료가 수집되었다. 정준상관분석을 사용하여 각 요인별 문항 반응이 충동성 뇌 연결망과 어떤 다변량적 관계를 맺는지 탐색했다. 분석 결과, 부정 긴급성, 감각추구, 긍정 긴급성 요인 별로 뇌 연결성과의 정준상관이 유의미했다. 특히, UPPS-P의 응답 패턴은 뉴로신스의 메타분석에 기반하여 정의된 충동성-관련 뇌 연결성과 관련이 있었던 반면, 충동성-관련 영역이 아닌 뇌 연결성에서는 이러한 정준상관이 관찰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UPPS-P의 특정 문항 조합은 충동성-관련 뇌 연결성의 조합에 기반하고 있음을 나타내며, 자기보고 방법으로 측정되는 특질 충동성 척도의 일부 문항이 청소년의 뇌 기능 개인차를 반영하는 도구임을 시사한다.

keywords
충동성, UPPS-P, 휴지기 뇌 연결성, 정준상관관계, 타당화, trait impulsivity, UPPS-P, functional connectivity, canonical correlation, validation

Abstract

Trait impulsivity is known as a psychological construct that explains behavioral problems, including lack of attention, personality disorders, and substance use disorder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While neurobiological mechanisms of adolescents’ impulsivity measured with behavioral lab tasks have been revealed using functional brain imaging techniques, little has been known whether trait impulsivity measured with self-reporting scales reflects a relevant neurobiological entity. In this study, multi-dimensional trait impulsivity scale (UPPS-P) and resting-state fMRI were acquired from 63 typically developing adolescents. We used a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CCA) to examine whether trait impulsivity reflects the brain connectivities of impulsivity network by targeting the brain regions with the Neurosynth meta-analysis system. We found that the linear combination of UPPS-P item-level responses was associated with the linear combination of impulsivity-relevant brain connectivities in the factor items of negative urgency, sensation seeking, and positive urgency. On the contrary, the brain connectivities that were not based on the meta-analysis of impulsivity did not show a meaningful canonical correl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specific questionnaires that compose the trait impulsivity scale are reflective of individual differences of adolescents’ neural circuitry of impulsiveness.

keywords
충동성, UPPS-P, 휴지기 뇌 연결성, 정준상관관계, 타당화, trait impulsivity, UPPS-P, functional connectivity, canonical correlation, validation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