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사회비교 경향성의 개인차에 대한 신경 기질: 확산텐서영상 연구

Neural substrates of individual differences in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a DTI study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 The Korean Journal of Cognitive and Biological Psychology, (P)1226-9654; (E)2733-466X
2023, v.35 no.2, pp.71-83
https://doi.org/10.22172/cogbio.2023.35.2.002
정위훈 (가천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사회비교 경향성(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SCO)은 자신을 다른 사람과 비교하는 정도(경향)를 의미하는데 이 같은 사회비교 경향성은 사람들 간에 상당히 다르다. 개인의 사회비교 경향성은 실생활의 다양한 결과들과 연관이 있기 때문에 사회비교 경향성의 개인차를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강한 젊은 성인의 확산텐서영상(diffusion tensor imaging) 자료를 이용하여 개인의 사회비교 경향성과 사회적-정서적 처리와 관련된 갈고리섬유다발(uncinate fasciculus, UF)의 분할 비등방도(factional anisotropy, FA) 및 평균확산도(mean diffusivity, MD) 간의 상관관계 뿐만 아니라 개인의 사회비교 경향성과 각각의 인구통계학적 특성들(나이, 성별, 교육기간) 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또한 인구통계학적 변수만 있는 모델과 인구통계학적 변수 및 뇌 변수가 함께 있는 모델이 개인의 사회비교 경향성을 예측하는 능력을 조사하고자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상관분석을 통해 사회비교 경향성과 갈고리섬유다발의 FA 및 MD 간에 중요한 관계가 있음이 관찰되었다. 또한 나이와 교육년수는 개인의 사회비교 경향성과 부적 상관을 지녔고, 여성이 남성보다 사회비교 경향성이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다중회귀분석결과 성별, 교육년수, 그리고 갈고리섬유다발의 FA가 함께한 모델이 개인의 사회비교경향성을 가장 잘 예측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사회비교 경향성에 있어 갈고리섬유다발 및 다양한 인구통계학적 정보와의 관련성을 보여줌으로써 개인의 사회비교 경향성의 예측 마커에 대한 새로운 통찰력을 제공해준다.

keywords
diffusion tensor imaging, individual difference, predictor,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uncinate fasciculus, 확산텐서영상, 개인차, 예측인자, 사회비교 경향성, 갈고리섬유다발

Abstract

People vary considerably in their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SCO), which the extent (tendency) to which they compare themselves with others. Understanding individual differences in SCO is important, because it is associated with various types of rea-life outcomes. Therefore, using diffusion tensor imaging data from healthy young adults, I investigated not only the correlation between individual SCO and the fractional anisotropy (FA) and mean diffusivity (MD) values of the uncinate fasciculus (UF), associated with social-emotional processing, but also the correlation between individual SCO and each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ge, sex, and duration of educa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also preformed to test the ability of models with only demographic variables and models with demographic and brain variables to predict SCO. Correlation analyses revealed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SCO and the FA and MD of UF. Additionally, age and duration of education were negative correlated with individual SCO, and women had higher SCO score than men.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the model with sex, education, and UF FA better predicted individual SCO than others. These results provide novel insights into the predictors of individual SCO, showing the involvement of UF and some demographic information in individual differences in SCO.

keywords
diffusion tensor imaging, individual difference, predictor,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uncinate fasciculus, 확산텐서영상, 개인차, 예측인자, 사회비교 경향성, 갈고리섬유다발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