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6-9654
  • E-ISSN2733-466X
  • KCI

한국어 명사 어절의 시각 재인 시 나타나는 첫음절 빈도의 촉진 효과

The Facilitative Effect of First Syllable Frequency during Visual Recognition of Korean Noun Eojeols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 The Korean Journal of Cognitive and Biological Psychology, (P)1226-9654; (E)2733-466X
2023, v.35 no.2, pp.93-106
https://doi.org/10.22172/cogbio.2023.35.2.004
권서연 (고려대학교)
김준우 (고려대학교)
이솔빈 (고려대학교)
남기춘 (고려대학교)

초록

한국어 시각 어휘 재인 시 음절은 중요한 역할을 한다. 기존 연구에서 첫음절 빈도는 명사 단어에서 억제적, 명사 및 용언 어절에서는 촉진적인 혼재된 결과가 보고되었다. 또한, 촉진적 효과가 보고된 어절 연구는 주로 상관 및 회귀 연구로 진행되어, 음절 빈도 효과에 대한 어절 연구 중 요인 설계를 적용한 연구는 드물다. 이에 본 연구는 3음절 및 4음절 명사 어절을 대상으로, 어절 길이, 어절 빈도 및 의미 수를 통제하여 음절 빈도 효과를 조사하고자 하였으며, 어근 길이에 따른 음절 빈도 효과의 차이가 존재하는지 확인하고자 복수의 어휘 판단 과제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 1에서는 3음절 명사 어절의 어근 길이를 1음절 및 2음절로 조작하였으며, 실험 2에서는 4음절 명사 어절의 어근 길이를 2음절 및 3음절로 조작하여 첫음절 빈도 고, 저에 따른 어휘 판단 과제 반응시간 및 정답률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실험 1, 2 모두에서 어근 길이와 무관한 첫음절 빈도의 촉진 효과가 보고되었다. 이는 기존에 보고된 어절 대상 연구와 궤를 같이하는 결과이며, 단어 대상 연구와는 일치하지 않는 결과이다. 종합하면, 본 연구는 어절 대상으로 음절 빈도 효과의 요인 설계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 어절 길이, 어근 길이 및 어절 빈도와 무관한 음절 빈도 효과를 보고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어 시각 어휘 재인에서 음절의 중요성을 재확인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단어와는 구별되는 어절의 재인 과정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keywords
visual word recognition, syllable, Eojeol, syllable frequency effect, factorial design, 시각 어휘 재인, 음절, 어절, 음절 빈도 효과, 요인 설계

Abstract

Syllable plays an important role in Korean visual word recognition. Previous studies on syllable frequency effect have reported mixed results, which showed inhibitory effects in noun words while facilitative effects were shown in noun and verb Eojeols. Furthermore, most studies on Eojeols which reported facilitative effects of first syllable frequency employed correlation and regression approaches, which suggests the necessity of an experiment with factorial design. The present study carried out two lexical decision studies, employing noun Eojeols with 3 and 4 syllable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irst syllable frequency, controlling for Eojeol length, Eojeol frequency, and the number of meanings. High and low frequency of first syllable were compared in both experiments, while manipulating stem length. In Experiment 1, 3-syllable noun Eojeols were manipulated to have 1 or 2 stem length in syllables, while 4-syllable noun Eojeols were manipulated to have 2 or 3 stem length in syllables in Experiment 2. The results showed that facilitative effects of first syllable frequency regardless of stem length in lexical decision latencies and accuracy in both experiments. These results are in accordance with previous studies on Eojeol. To summarize,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syllable frequency effect in Eojeols while controlling other confounding factors, which showed robust facilitative effect of first syllable frequency irrelevant of Eojeol length, stem length, and Eojeol frequency. Therefore, the current results are discussed in terms of processing of Eojeol distinct from that of word.

keywords
visual word recognition, syllable, Eojeol, syllable frequency effect, factorial design, 시각 어휘 재인, 음절, 어절, 음절 빈도 효과, 요인 설계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