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채점 정확도와 채점자 편향을 통해 본 대학생의 평가 역량

Exploring the evaluation capacity of university students through rating accuracy and rater bias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 The Korean Journal of Cognitive and Biological Psychology, (P)1226-9654; (E)2733-466X
2023, v.35 no.3, pp.107-124
김경미 (서울대학교 협동과정인지과학전공)
박정애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양지원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박주용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채점자의 역량을 개인 수준에서 측정하는 대표적인 지표는, 채점 정확도와 채점자 편향(채점 엄격성, 중앙값 채점 경향성, 채점 무작위성)이다. 두 지표는 주로 전문 채점자를 대상으로 연구되었지만, 영역이 다른 둘 이상의 과제를 통해 평가 역량의 일반성이 검증된 바 없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로 하여금 언어영역 과제와 시공간영역의 과제를 채점하게 한 결과로, 채점 정확도와 채점자 편향을 탐색하였다. 분석 결과 한 영역에서 채점 정확도가 높고 채점척도를 잘 사용하는 학생들은 다른 평가영역에서도 그럴 가능성이 높고, 채점 정확도가 높은 학생들보다 낮은 학생들이 평가영역 차이에 영향을 받는 정도가 유의하게 더 컸다. 전체 논의에서는 대학생 평가역량 측정 연구에 시사하는 점과 한계점이 다루어졌다.

keywords
evaluation capacity, rater severity, rater centrality, randomness effect, rating accuracy, Many-Facet Rasch model, 평가 역량, 채점 엄격성, 중앙값 채점 경향성, 채점 무작위성, 채점 정확도, 다국면라쉬모형

Abstract

Traditionally, researchers have used rating accuracy and rater bias (severity, centrality, and randomness) as individual-level indicators of rating quality. While these have been studied mostly for expert raters, research on whether evaluation capacity is domain-general over two or more different tasks is lacking. Thus, we investigated the two indicators in the context of undergraduate raters. In two studies, undergraduates scored outputs from a verbal-linguistic task and a visual-spatial task. The results showed that proficient students in one domain are also likely to be proficient in the other in terms of rating accuracy and the use of rating scale. In addition, students with lower rating accuracy were more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difference between domains compared to more accurate students. We also discus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our findings on measuring student evaluation capacity.

keywords
evaluation capacity, rater severity, rater centrality, randomness effect, rating accuracy, Many-Facet Rasch model, 평가 역량, 채점 엄격성, 중앙값 채점 경향성, 채점 무작위성, 채점 정확도, 다국면라쉬모형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