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6-9654
이 글에서는 언어게임에서 지시 표현의 이해 과정을 LCA 모형(Usher & McClelland, 2001)을 사용하여 설명하고자 했다. 특히 크기 형용사와 색깔 형용사의 차이에 주목하여, 두 형용사의 처리 차이를 모형이 설명할 수 있는지 확인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실험 1에서는 Sedivy (1999)의 실험 패러다임을 이용하여 크기 형용사와 색깔 형용사의 도약 잠재 시간을 비교하였으며, 이 차이가 LCA 모형의 정보 입력 파라미터와 관련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 2와 3에서는 대조가 크기 형용사와 색깔 형용사의 도약 잠재 시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 이 차이가 LCA 모형의 횡적 억제 파라미터와 관련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크기 형용사와 색깔 형용사의 처리 차이를 재확인함과 동시에 두 형용사의 처리 시간의 차이가 모형의 정보 입력과 관련이 있고, 장면의 차이가 횡적 억제와 관련이 있음을 보인 것이라 할 수 있다. 연구의 의의와 함께 분석의 한계와 앞으로의 형용사 처리 연구 방향에 대해 제안하였다.
This paper examines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referential expressions in language games using the LCA model (Usher & McClelland, 2001). In particular, we focu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size and color adjectives and tried to find out whether the model could explain the difference in their processing. In Experiment 1, the saccadic latency of size and color adjectives were compared using Sedivy’s (1999) experimental paradigm and it was verified that the difference in latency was related to the information input parameter of the LCA model. Experiments 2 and 3 figured out how contrast affects the saccadic latency of size and color adjectives and verified that the difference in latency was related to the lateral inhibition parameter of the model. This study replicated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and showed that the difference in processing time between the two adjectives is related to the input parameter, whereas the difference in display is related to the lateral inhibition parameter. Along with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the limitations of the analysis and the future direction of research on adjective processing were sugg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