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2음절 초성과제 수행과 언어 능숙도 개인차의 관계 탐색

The Relationship between a Bisyllabic Onset Task and Individual Differences in Language Proficiency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 The Korean Journal of Cognitive and Biological Psychology, (P)1226-9654; (E)2733-466X
2024, v.36 no.3, pp.137-156
https://doi.org/10.22172/cogbio.2024.36.3.003
박종현 (광주과학기술원 생명과학부)
최원일 (광주과학기술원 기초교육학부)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2음절 초성과제가 한국어 모어 성인 화자의 언어 능숙도 개인차를 효율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가를 알아보고, 이 과제 수행이 다른 과제를 통해 측정된 언어 능숙도의 개인차와 어떤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82명의 성인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언어 능숙도 및 언어 정보처리 과정을 알아보는 과제들과 2음절 초성과제를 실시하고, 상관관계 분석, 선형혼합효과모형 분석을 통해 초성과제 측정치들과 다른 과제 수행 시 나타나는 개인차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초성과제 측정치들은 다른 과제 측정치들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선형혼합효과모형 분석 결과, 초성과제 측정치는 글 읽기 시 안구 운동 측정치와 어휘판단과제의 반응시간을 잘 설명하였다. 또한 초성과제에서 산출된 단어의 순서와 단어의 빈도는 강한 부적 상관을 나타냈는데, 산출 순서가 앞설수록 산출된 단어의 빈도가 높았으며, 이러한 결과를 단어재인 모형을 기반으로 논의하였다. 종합적으로 본 연구 결과는 2음절 초성과제가 언어 능숙도의 개인차를 효과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과제임을 시사한다.

keywords
2음절 초성과제, 언어 능숙도, 단어재인, 개인차, 심성 어휘집, bisyllabic onset task, vocabulary knowledge, word recognition, individual differences, mental lexico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validity of a bisyllabic onset task as an efficient measure of individual differences in language proficiency among adult speakers of Korean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formance of the onset task and individual differences in language processing. Eighty-two adult participants were administered the bisyllabic onset task along with tasks that investigate language ability and linguistic information processing,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isyllabic onset task measures and individual differences in linguistic information processing was analyzed through correlation analyses and linear mixed-effects model analyses. The onset task measure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other measures of individual differences, and linear mixed-effects model analyses showed that the onset task measures explained well the oculomotor measures of reading and the reaction times of a lexical decision task. In addition, there was a strong inverse correlation between the order of words produced in the onset task and the frequency of words: the earlier the order of production, the higher the frequency of words, and these results are discussed based on word recognition models. Overall,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bisyllabic onset task is an effective measure of individual differences in language proficiency.

keywords
2음절 초성과제, 언어 능숙도, 단어재인, 개인차, 심성 어휘집, bisyllabic onset task, vocabulary knowledge, word recognition, individual differences, mental lexicon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