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한국 사회의 고독과 외로움: 인식적 탐색과 이해

Solitude and Loneliness in Korean Society: Cognitive Exploration and Understanding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 The Korean Journal of Cognitive and Biological Psychology, (P)1226-9654; (E)2733-466X
2024, v.36 no.3, pp.111-136
https://doi.org/10.22172/cogbio.2024.36.3.002
장혜진 (인제대학교 상담심리치료학과)
김영근 (인제대학교 상담심리치료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에서는 대표성을 가진 고독과 외로움의 단어 도구를 개발하고, 두 정서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을 차원적으로 살펴보았다. 20대∼60대의 성인을 대상으로 단어 분류 과제를 수행하였고, 그 결과를 토대로 단어에 내재한 차원을 발견하였다. 고독의 차원은 모든 연령에서 2차원으로, 외로움의 차원은 60대를 제외한 전 연령에서 2차원으로 나타났다. 고독의 경우, 20대는 ‘여유(자유)-위축(자신감 결여)/내부 지향(불안)-외부 지향(불만족)’, 30대는 ‘여유(탐구)-위축(회피)/내부 지향(결핍)-외부 지향(우울)’, 40대는 ‘여유(전환)-위축(두려움)/내부 지향(무력감)-외부 지향(혼란)’, 50대는 ‘여유(자기 발견)-위축(취약)/내부 지향(무력감)-외부 지향(투쟁과 인내)’, 60대는 ‘여유(성찰)-위축(상실)/내부 지향(근심)-외부 지향(불안)’으로 명명하였다. 외로움의 경우, 20대는 ‘갈등-공허/무력감-소진’, 30대는 ‘무력감-공허/불안-우울’, 40대는 ‘무력감-공허/소외감-쇠퇴’, 50대는 ‘헌신-인내/고립에 대한 두려움-앞날의 고민’, 60대는 ‘회의(세월의 고단함이 허무함으로)-애환(혼돈 속 균형)’으로 명명하였다. 본 연구는 정서․인지․행동적 측면에서의 다각적인 접근을 통해 고독과 외로움에 대한 개인의 내․외적 상태를 탐구하였다. 이는 정서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도모하고, 삶의 안정과 정신 건강 증진에 필요한 자료 개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고독, 외로움, 정서 단어, 정서 차원, 성인기, 한국 사회, 한국인, solitude, loneliness, emotional words, emotional dimensions, adulthood, Korean society, Koreans

Abstract

This study developed a representative words tool for solitude and loneliness and examined the perception of the two emotions dimensionally. A word classification task was performed on adults in their 20s to 60s, and the dimensions inherent in words were discovered based on the results. The dimension of solitude was 2-dimensional at all ages, and the dimension of loneliness was 2-dimensional at all ages except those in their 60s. In the case of solitude, those in their 20s are ‘relaxation (freedom)-withdrawal(lack of confidence)/inward orientation(anxiety)-external orientation(dissatisfaction)’, and those in their 30s are ‘relaxation(exploration)-withdrawal(avoidance)/internal orientation(deficiency)-External orientation(depression)’, for those in their 40s, ‘relaxation(transition)-withdrawal(fear)/internal orientation(helplessness)-external orientation(confusion)’, for those in their 50s, ‘relaxation(self-discovery)-withdrawal(vulnerability)/internal orientation(Helplessness)-external orientation(struggle and perseverance)’, those in their 60s were named ‘leisure(reflection)-shrinkage(loss)/internal orientation(anxiety)-external orientation(anxiety)’. In the case of loneliness, those in their 20s are ‘conflict-emptiness/helplessness-exhaustion’, those in their 30s are ‘helplessness-emptiness/ anxiety-depression’, those in their 40s are ‘helplessness-emptiness/alienation-withdrawal’, and those in their 50s are ‘dedication-patience/fear of isolation-anxiety about the future’, and those in their 60s named it ‘skepticism(due to the futility of the hardships of time)-the joys and sorrow(balance in chaos)’. This study explored individual internal and external states of solitude and loneliness through a multiple approaches in terms of emotion, cognition, and behavior. This will be used to promote a deep understanding of emotions and to develop data necessary to stabilize life and promote mental health.

keywords
고독, 외로움, 정서 단어, 정서 차원, 성인기, 한국 사회, 한국인, solitude, loneliness, emotional words, emotional dimensions, adulthood, Korean society, Koreans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