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6-9654
  • E-ISSN2733-466X
  • KCI

비과제 창의 주사율 저하가 과제 창의 시간적, 공간적 해상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reducing the refresh rate of a task-irrelevant window on the temporal and spatial resolution of a task-relevant window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 The Korean Journal of Cognitive and Biological Psychology, (P)1226-9654; (E)2733-466X
2024, v.36 no.3, pp.99-109
https://doi.org/10.22172/cogbio.2024.36.3.001
여윤수 (연세대학교 인지과학협동과정)
정다운 (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김청일 (연세대학교 인지과학협동과정)
박정현 (연세대학교 인지과학연구소)
조지은 (연세대학교 인지과학협동과정)
최정환 (연세대학교 인지과학협동과정)
정상철 (연세대학교 심리학과)

초록

최근 디스플레이 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하나의 큰 화면을 여러 영역으로 나누어 사용하거나 여러 화면 기기들을 연결하여 함께 사용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환경에서는 현재 수행 중인 작업과 관련성이 높은 과제 창과 그렇지 않은 비과제 창으로 화면이 나누어질 수 있고, 이때 에너지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비과제 창의 주사율을 선택적으로 줄일 수 있다. 하지만 비과제 창의 주사율 저하가 과제 창의 작업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는 아직 충분히 검증되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실험 1과 2에서 각각 점멸 지각 역치 측정 과제와 화질 저하 탐지 과제를 이용하여 비과제 창의 주사율 저하가 과제 창의 시간적, 공간적 해상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였다. 실험 결과, 비과제 창의 주사율 저하는 과제 창의 시간적 해상도에는 영향을 미치지만 공간적 해상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결과는 실제 디스플레이 사용 환경에서 비과제 창의 주사율을 낮추고자 할 때에는 과제 창에서 수행되고 있는 작업의 특성이 고려되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keywords
split screen, temporal frequency, critical flicker-fusion frequency, attentional capture, distractor suppression, 분할 화면, 시간 주파수, 점멸 지각 역치, 주의 포획, 방해 자극 억제

Abstract

With recent advances in display technology, there is a growing trend in using a large screen divided into multiple windows or connecting multiple displays to use them together. In such scenarios, the screen can be divided into task-relevant and task-irrelevant windows, allowing selective reduction of the refresh rate in the latter to enhance energy efficiency. However, whether the decrease in the refresh rate in the task-irrelevant window affects task performance in the task-relevant window remains unknown. Here, in two experiments, we adopted critical flicker-fusion frequency (CFF) measurement and image quality degradation detection task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reducing the refresh rate of the task-irrelevant window on the temporal and spatial resolution in the task-relevant window. We found that the refresh rate reduction of the task-irrelevant window affected the temporal, but not the spatial resolution of the task-relevant window.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nature of the current task in the task-relevant window must be considered if the refresh rate in the task-irrelevant window is to be reduced in real-world display usage scenarios.

keywords
split screen, temporal frequency, critical flicker-fusion frequency, attentional capture, distractor suppression, 분할 화면, 시간 주파수, 점멸 지각 역치, 주의 포획, 방해 자극 억제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