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6-9654
많은 이전 연구들은, 청시상의 일부인 내측 슬상핵의 손상이 청각 CS에 대한 조건화된 차별서맥반응, 동맥반응, 동결반응 등을 차단시킴을 보고하고, 내측 슬상핵이 청각 CS를 사용한 정서 조건화에 관여하는 신경구조물임을 밝혀왔다. 그러나, 내측 슬상핵에서 조건화 동안 MUA가 발달하고, 기억의 신경 생리학적 기제로 인정되고 있는 LTP가 일어나며, 해부학적으로 청각 CS와 전기쇼크 US를 모두 입력받는 등 단순한 출력 구조물이 아닌 가소성의 장소일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실험 1은 상승된 경악반응 패러다임을 이용하여 내측 슬상핵을 전해질 손상시켰을 때에도 조건화된 정서반응인 상승된 경악반응이 일어나는지를 살펴보았다. 먼저 청각 CS와 발바닥 전기쇼크 US를 짝지워 제시하는 조건화시행을 이틀에 걸쳐 실시한 후 내측 슬상핵을 전해질 손상받은 집단은, 모의 손상 집단이나 무처치 집단에 비해서, 차후의 검사시행때 경악반응의 상승률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실험 2는 내측 슬상핵이 정서 조건화에 있어서 단순한 회로의 일부가 아닌 가소성의 장소임을 확인하기 위해 실시하였는데, 조건화 시행전과 검사시행전에 LTP를 차단하는 NMDA 수용기 길항제인 AP-5 혹은 saline을 쥐의 내측 슬살핵에 주입하였다. 실험결과 조건화전 AP-5 주입된 집단(AP-5/AP-5 집단, AP-5/saline 집단)은 조건화전 saline이 주입된 집단(saline/saline 집단, saline/AP-5 집단)에 비해서 경악반응의 상승률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내측 슬상핵이 청각 CS를 사용한 정서 조건화에서 가소성 구조물임을 시사한다.
In many previous studies, it has been reported that lesions of the medial geniculate nucleus (MGN) which is the part of acoustic thalmaus blocked conditioned emotional response, such as differential bradycardiac response, blood pressure, and freezing response. So, it has been suggested that MGN is a neural structure that is involved in conditioned emotional responses. But, considering MUA and LTP are developed in MGN during conditioning and MGN receives convergent acoustic CS and electrical US input, it may be regarded that MGN is a structure of plasticity, not simply a neural structure. The purpose of this was to indentify the roles of MGN whin the neural circuit involved in fear when it used fear-potentiated startle response as a measure of fear. In experiment 1, after the conditioning that paired acoustc CS with electrical shock US, electrolytic bilateral lesions were administered to the MGN. Results were that the unoperated group and the sham surgery group showed fear-potentiated startle response, but on the other hand the lesioned group did not. In experiment 2, AP-5, which blocks LTP as a NMDA receptor antagonist, was microinjected to MGN before conditioning trials and test trial. Results revealed that the animals which AP-5 was microinjected before conditioning trials did not show potentiated startle response, but the animal which AP-5 was microinjected before test trial did. These observations consist with previous reports that NMDA receptor antagonist blocked acquisition not performance of learning. So it can be concluded that these findings indicate MGN is a structure of neural plasticity as well as a neural structure in emotion conditioning using acoustic CS and electrical shock 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