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개념적 지식과 논리적 사고

Conceptual Knowledge and Logical Thinking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 The Korean Journal of Cognitive and Biological Psychology, (P)1226-9654; (E)2733-466X
1992, v.4, pp.140-164
김영채 (계명대학교 심리학과.교육학과)
박권생 (계명대학교 심리학과.교육학과)
박아청 (계명대학교 심리학과.교육학과)

초록

개념적 지식과 논리적 사고가 어떠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 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세 가지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1에서는 Wason의 카드선택과제를 이용하여 대학생의 연역추리를 다루었다. 실험 2와 3에서는 산수의 분수과제를 이용하여 국민학생의 문제해결의 계산능력수준을 분석하였다. 여기서 얻은 결론들은 다섯가지로 간추려 볼 수 있는데, (i) 논리적 사고는 추상적인 추론규칙을 사용한다기 보다는 영역구체적인 추론규칙을 사용하는 것 같으며, (ii) 추론은 경험을 토대로 습득한 전략기억에 주로 의존하며, (iii) 개념적 지식과 절차적 지식은 범주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그리고 각 범주의 개념은 조건을 포함하는 기능에 따라 색인화되어있는 것 같이 보이며, (iv) 지식과 사고는 기본적으로 서로 독특하지만 서로는 역동적으로 상호작용하며, 그리고 (v), 이는 실용적인 것인데, 논리적 사고력을 개발할 때는 절차학습을 구체적 문제영역의 자료를 가지고 적절한 맥락에서 구체적으로 해야 하며, 언제, 어디서, 그리고 '왜'를 외현적으로 강조해야 하며, 그리고 도구적 지식이 되게 깊게 이해하게 할 필요가 있다는 것 등이다.

keywords

Abstract

Conceptual knowledgs consist of cores of concepts and their interrelations and are organized. Logical thinking for problem solving in our everyday/academic life is assumed to take several different forms such as reasoning, problem solving, critical and creative thinking depending upon the requirments of task situation. This study performed three experiments to investigate the natur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oncept and procedure. Experiment 1 used Wason s card selection task requiring deductive reasoning and employed college subjects. Experiment 2 and 3 used mathematical fraction problems with primary school students of grade 4 and 5 in Experiment 2 and grade 2 in Experiment 3. Conclusions drawn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i) People seemed to solve reasoning problems using rules specific to the domain rather than using abstract inferential rules, (ii) problem solving depended largely on the strategies memory acquired through specific experiences or generalized, (iii) conceptual knowledge and procedural knowledge was posited linked through categories and categories indexed in terms of functions including the conditions and (iv) knowledge and procedure seemed basically distinctive, but they were also found interacting dynamically and synchronically. The final pragmatic conclusion (v) would encourag procedure instruction to use domain-specific materials to teach concretely, to explicitly emphasize when, where and why of the procedure, and to help students to understand materials deeply to make knowledges meaningful and functional.

keywords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