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도피불가능한 전기쇽이후 나타나는 통각억제 체계의 선택적인 활성화와 콜린성 체계의 역할

The selective activation of pain inhibition system after inescapable shock and the role of cholinergic system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 The Korean Journal of Cognitive and Biological Psychology, (P)1226-9654; (E)2733-466X
1992, v.4, pp.150-159
조소현 (고려대학교 심리학과)
조원호 (국민대학교 교육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에서는 도피불가능한 전기쇽 이후 발생하는 통각억제 체계중 어떤 요소가 선택적으로 활성화되는지, 또한 naloxone(Nal)의 사전처치에도 불구하고 통각에 대한 민감성의 감소가 약물의 투여로 인한 신경화학물질의 변화 때문인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따라서 혐오성의 정도가 심한 도피불가능한 쇽을 가한후 hot-plate를 사용 통각에 대한 민감성을 측정한 결과, 훈련기에서 Nal집단과 Saline(Sal) 집단 모두 퍼센트 통각감소율이 높게 나타났다. 검사기에서는, Sal-Sal 집단과 Nal-Sal집단은 훈련기에서의 통각감소가 유지되는 반면에 Sal-Nal집단과 Nal-Scopolamine(Scop)집단은 각각의 생리식염수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이러한 사실은 도피불가능한 전기쇽 이후 통각억압 체계의 아편계와 비아편계가 선택적으로 활성화됨을 의미하고, naloxone의 사전투여 이후에 활성화되는 비아편계는 scopolamine을 투여했을때 통각감소가 역전된다는 점에 비추어 볼 때 naloxone으로 역전되지 않은 통각감소(naloxone-nonreversible hypoalgesia)는 ACh의 무스카린(muscarine) 수용기를 매개로 하여 작용했다고 할 수 있다. 이 결과는 콜린성 체계가 비아편계의 활성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신경화학물질임을 시사해준다.

keywords

Abstract

The present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xamine which component of pain inhibition system is selectively active after inescapable electric shock and whether, inspite of naloxone pretreatment, the decrease of pain sensitivity was due to the change of neurochemical substance following drug. In result of assesing the pain sensitivity on using hot-plate apparatus after severe aversiveness of inescapable shock. Nal and Sal group were higher than baseline in the % analgesic rate in training phase. In the testing phase, both Sal-Sal and Nal-Sal group were maintained hypoalgesia but, both Sal-Nal and Nal-Scop group were significantly reduced in compared with each control group.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opioid and nonopioid component of pain inhibition system were selectively activated after inescapable shock, and naloxone-nonreversed hypoalgesia was activated by mediation of chlinergic muscarine receptor, in view of that non-opioid hypoalgesia after naloxone pretreatment was reduced by scopolamine treatment. This results suggested that cholinergic drug is an important neurochemical substance in the activation of non-opioid hypoalgesia.

keywords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