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각성수준 및 여러가지 향이 P300 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rousal Level and Odour on P300 Amplitude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 The Korean Journal of Cognitive and Biological Psychology, (P)1226-9654; (E)2733-466X
1992, v.4, pp.160-172
윤영화 (고려대학교 심리학과)
민선호 (태평양중앙연구소 향료연구실)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연구에서는 각성상태나 졸린상태 또는 향이 제시되는 조건등을 사용하여 이러한 요인이 사건관련 뇌전위의 일종인 P300반응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 보고자 하였다. 그러기 위하여 피험자에게 일련의 비교적 낮은 소리를 제시하는 가운데 간혹 높은 소리를 제시하면서 드물게 제시되는 높은 소리를 탐지하여 세게 하는 과제를 사용하였다. 실험1에서는 P300반응이 각성수준과 관련되는가 살펴보기 위하여 피험자에게 잠깐 낮잠을 자게 하다가 깨운 직후나 커피를 마시고 쉬게 한 후에 P300반응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졸린 상태에서는 P300반응의 진폭이 감소하였고, 커피를 마시고 각성된 상태에서는 P300반응의 진폭이 도로 증가하였음을 발견하였다. 그러나 그런 조작이 P300반응의 잠재기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실험2에서는 향이 지닌 각성효과나 진정효과가 P300반응의 진폭에 반영되리라 생각되어 천연향의 정유나 천연향의 정유에서 조향한 몇가지 개발한 향의 정유를 선택하여 실험1에서와 동일한 과제를 사용하여 향 제시가 P300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실험2의 결과, 여러가지 향이 P300의 진폭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즉 쟈스민과 로오즈는 P300반응의 진폭을 증가시켰으며 라벤더와 캐모마일은 P300의 진폭을 감소시켰으며 개발한 향 역시 P300의 진폭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본연구자들은 P300반응이 향이 뇌전기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민감한 측정치라 제안한다.

keywords

Abstract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rousal level and odour on the P300 amplitude. To obtain P300, subjects were requested to detect and count infrequent high-pitched tones interspersed frequent low-pitched tones(odd-ball paradigm). In experiment 1,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s of drousiness and arousal on the P300, amplitude P300 was obtained immediately after subjects took a nap or drank a coffee and rested. The result showed drowsiness decreased and arousal increased the P300 amplitude. Experiment 2 was conducted to examine whether the P300 was sensitive to the stimulating or sedative effects of some odours with odd-ball paradigm. The results of experiment 2 showed odours affected the P300 amplitude, that is, jasmine and rose increased while lavender and chamomile decreased the P300 amplitude. We suggest that P300 is a sensitive measure of the effects of odour on the brain electrical activities.

keywords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