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6-9654
  • E-ISSN2733-466X
  • KCI

내측중격의 손상과 자극이 해마 θ파, 해마 다단위 활동 및 고전적순막 조건반응의 소거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medial septal lesion and stimulation on hippocampal θrhythm, multiple unit response and extinction of rabbit's classically conditioned nictitating membrane response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 The Korean Journal of Cognitive and Biological Psychology, (P)1226-9654; (E)2733-466X
1992, v.4, pp.39-59
이두현 (고려대학교 심리학과)
김기석 (고려대학교 심리학과)

초록

본 연구는 해마의 주입력로중의 하나인 내측중격의 조작이 토끼 순막의 고전적 지연조건화의 소거와 해마의 다단위 활동, 해마 θ파에 미치는 효과를 연구하였다. 그 결과 해마 θ파가 사라졌고, 통제 집단에 비해 소거의 저항이 일어 났는데, 특히 소거 초기 단계에서는 파지 경함을 일으켰다. 소거기간동안 해마에서 측정한 다단위 활동에 대한 분석에서는 손상집단과 통제집단간에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이는 해마의 다단위 활동은 독립적인 현상임을 의미하였다. 한편 통제 집단의 소거 기간동안의 제1유형 θ파에 대한 분석 결과, 조건화가 진행됨에 따라 무조건자극 제시시점에 맞추어서 제1유형 θ파가 증가를 하다가 소거 시행에 가서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내측중격, 또는 해마 θ파의 기능은 혐오스러운 자극의 처리와 관련이 있음을 시사하는것이었다. 실험2에서는 실험1에서와 같이 지연 조건화를 시킨후 내측중격에 제1유형 θ파의 주파수대와 비슷한 8Hz의 전기자극을 가하면서 소거 절차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해마에서 제1유형 θ파가 유발되었고 행동적으로는 소거의 저항이 나타났다. 즉, 내측중격을 자극한 집단의 경우 반응률, 진폭, 면적에 대한 분석에서 소거의 증거는 거의 찾아볼 수 없었다. 해마의 다단위활동은 실험1에서와 같이 자극집단과 통제 집단간에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이러한 실험1과 실험2의 결과를 어떤 단일 가설로도 설명할 수 없었다.

keywords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functions of medial septum and/or hippocampal θ rhythm, and multiple unit response in the hippocampus during extinction of classical conditioning of rabbit`s nictitating membrane response. In experiment 1, blocking of Hippocampal θ rhythm with medial septal lesion brought about resistance of extinction, but in initial extinction trials brought about performence deficiency. Namely, the size of response area in lesion group were less then in control group. So, former result could be explained in terms of arousal hypothesis, but latter result could not be explained. And, it was difficult to explain the result of experiment 1 with any other hypothesis. Hippocampal multiple unit response of medial septal lesion group did not differ from that of control group. This result suggest that there were no correlation between hippocampal θ rhythm and hippocampal unit response. In experiment 2, driving of hippocampal θ rhythm by electrical low frequency stimulation of medial septum brought about resistance of extinction.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he analysis of peak amplitude, response area, percentage of conditioned response. Namely, the strength of resistance was very great. In the analysis of multiple unit response, the result was similar to that of experiment 1. This results could be explained with the view which assert that medial septum serve to process frustrative stimuli, but could not be explained with arousal hypothesis. And, any hypothesis could not explain both results of experiment 1 and experiment 2. So, these results should be approched with new viewpoint. In our discussion, it was presented that the approch of neural network or computational neuroscience can suggest that function of medial septum and/or hippocampal θ rhythm were related to hippocampal-neocortex resonance loop to hippocampal index model.

keywords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