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장면의 이해와 항목 정보의 표상

Scene Comprehension Processing and Representation of Item Information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 The Korean Journal of Cognitive and Biological Psychology, (P)1226-9654; (E)2733-466X
1993, v.5, pp.136-152
서창원 (충남대학교 심리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도식이론(schema theory)이 복잡한 장면의 이해와 기억표상을 설명하는데 적용될 수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해서 실시되었다. 도식이론은 세상 정보의 표상과 정보초리시 표상된 지식의 사용에 관한 이론이다. 장면 도식의 표상은 항목정보의 전형성과 그들 간의 공간적 조직성이 중요한 변인으로 볼 수 있었다. 이해자가 장면을 이해하는 동안에 이러한 변인들이 항목 정보의 활성화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기 위해서 네개의 실험이 수행되었다. 실험 1에서는 장면의 항목전형성과 조직성이 항목확인과제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장면점화를 통해서 살펴보았다. 전형 항목이 비전형 항목에 비해서 반응시간이 빠름을 보였다. 그러나 공간적 조직성은 반응시간에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실험 2에서는 장면점화시간을 달리하여(1000msec) 항목확인과제를 실시하였다. 전형성과 조직성의 주효과는 실험 1과 동일하였다. 그러나 여기서 전형성과 조직성의 상호작용이 나타났다. 조직조건의 비전형 항목이 상호작용을 초래하게 하였다. 실험 3에서는 장면을 점화 자극으로 사용하여 항목명명과제를 실시하였다. 결과는 실험 1과 동일하였다. 실험 4에서는 항목 그림을 점화로 사용하여 장면명명과제가 수행되었다. 결과는 전형성과 조직성의 효과가 나타났다. 네개의 실험을 통해서 얻어진 결과는 장면의 이해과정에 장면의 도식이 강력하게 작용한다는 사실을 보인 것이다. 특히 장면의 항목 전형성은 과제의 유형에 관계없이 일관적으로 항목의 활성화 수준에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장면의 공간적 조직성은 개별 항목의 활성화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못했지만, 전체장면을 활성화하는데는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keywords

Abstract

Schema theories are theories about the representation and use of knowledge for given information,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scene comprehension and memory representation, and implication of schema theory to complex scene information, Therefore, Four experiments are conducted, In experiment 1, picture verification task was conducted by scene material, The result have shown that typical inventory was faster than atypical one, But there are no effects of organization and presence. In experiment 2, scene priming time was controlled and picture verification task was conducted by scene material. The result have shown that typical inventory was faster than atypical one, And there are no effects of organization and presence, But we gained interaction by typicality and organization, the source of interaction was atypical inventory in organization condition, In experiment 3, scene theme priming and picture naming task was conducted. The result was same as experiment 1, In experiment 4, scene naming was conducted. The result have shown that the effects of typicality and organization were significant, All these resluts support scene schema theory But spatial organization was complex and indirect effects on scene comprehension rather than typicality of inventory.

keywords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