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6-9654
  • E-ISSN2733-466X
  • KCI

작업기억내에서의 한국어 통사처리과정

Korean Syntactic Processes in Working Memory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 The Korean Journal of Cognitive and Biological Psychology, (P)1226-9654; (E)2733-466X
1993, v.5, pp.153-169
김영진 (아주대학교 심리학과)

초록

작업기억과 통사처리과정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우선 문장이해과정에 관한 여러 접근방식과 한국어 통사처리에 관한 연구들을 개관하였다. 그리고 작업기억내에서의 생략어 포함 대등절 문장의 처리를 알아보기 위해, 실험 I에서는 네가지 유형의 대등 연결문을 마지막 단어 읽기과제를 통해 비교하였다. 특히 해독과정에 관한 설명으로 제시되는 근접성 가설, 작업 기억 가설, 최근필러이용 가설의 상대적 설명의 효율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실험 결과는, 주어가 공통논항인, 표준어순의 연결문이 다른 세 유형의 연결문보다 이해 시간이 빨랐다. 실험 II에서는 작업기억 가설의 예측을 반복 검증하기 위해 중의적인 연결문을 사용하고 이에 대한 질문의 정확반응을 알아보았다. 실험 결과는 작업기억 가설을 지지하는 것으로 나왔다. 그러나 두 실험의 결과는 어느 한 가설만으로는 설명될 수 없으며, 대안적인 설명으로, 작업기억내에서 이용 가능한 여러 정보와 작업기억의 기본 처리기제가 서로 상호작용하여 이루어짐을 논의했다. 아울러, 한국어와 영어의 구조적 차이에 따른 실험 결과와 이론적 설명의 차이도 논의했다.

keywords

Abstract

To investigate relationship between syntactic parsing processes and working memory processes, first, we reviewed various approaches on sentence processing and basic experimental results about Korean syntactic processing. Then, two experiments were performed to examine processing characteristics of conjoined coordinative sentence parsing in working memory. In Experiment I, four different types of the conjoined sentence were compared by using the speeded comprehension task. Especially, we tried to decide relative explanatory power of three hypotheses such as the accessibility hypothesis, the working memory hypothesis, and the recent filler strategy. The standard type of conjoined sentence that has a subject as a coreferent showed the fastest comprehension time, In Experiment II,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working memory hypothesis, two kinds of ambiguous conjoined sentence were compared by asking an ambiguous coreferent word. It was found that the results of the two experiment could not be handled by any one hypothesis. They should be explained by considering all syntactic cues of the sentence and the processing characteristic of working memory, Different parsing processes between Korean arid English were also discussed.

keywords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