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사전문장과 문단나누기가 설명글의 기억에 미치는 효과

Preview Sentences and Paragraphing in Expository Text: Effects on Recall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 The Korean Journal of Cognitive and Biological Psychology, (P)1226-9654; (E)2733-466X
1993, v.5, pp.205-211
김정호 (덕성여대 심리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은 사전문장과 문단나누기가 설명글의 기억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 보았다. 본 실험에는 대학생들이 참여하였으며 그들은 다음과 같은 4개의 집단에 무선적으로 배정되었다; 사전문장과 문단나누기 모두 있는 집단; 사전문장만 있고 문단나누기는 없는 집단; 사전문장은 있고 문단나누기는 없는 집단; 사전문장과 문단나누기 모두 없는 집단. 실험을 실시한 결과, 설명글의 기억에 사전문장과 문단나누기가 미치는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피험자들의 학습능력을 고려했을 때, 유의한 상호작용효과가 관찰되었다. 학습능력이 높은 피험자들은 글의 문단나누기 여부에 관계없이 기억이 좋았으며, 학습능력이 낮은 피험자들은 문단나누기가 없는 조건에서 보다 문단나누기가 있는 조건에서 더 기억이 좋았다. 본 연구에서는 또한 이러한 결과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 졌다.

keywords

Abstract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preview sentences and paragraphing in expository text on subjects' recall of the text. Colleg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four text version groups : the no preview sentences and no paragraphing group, the no preview sentences and paragraphing group, the preview sentences and no paragraphing group, and the preview sentences and paragraphing group. The result showed no significant effects of preview sentences and paragraphing. However, students' learning ability being considered,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were found. Although subjects with high teaming ability recalled well regardless of whether or not passage was paragraphed, subjects with low teaming ability recalled mare in paragraphing condition than no paragraphing condition. The implication of these results is discussed.

keywords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