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조작 행동에 있어서 신경마비제 효과에 관한 이론들

Theories of Neuroleptics' Effects on Operant Behavior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 The Korean Journal of Cognitive and Biological Psychology, (P)1226-9654; (E)2733-466X
1993, v.5, pp.95-113
정평수 (미시시피 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행동 약물학(Behavioral Pharmachology)은 잘 통제된 동물 모델을 토대로 항정신성 약물(antipsychotic drug)과 관련된 신경마비제(neuroleptics)의 급작성 복용효과(subcataleptic dose effect) 연구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이 연구들은 주로 D<sub>1</sub>, D<sub>2</sub>, 또는 혼합된 D<sub>1</sub>/D<sub>2</sub>의 길항제 [Antagonists: SCH23390 (D<sub>1</sub>), Raclopride (D<sub>2</sub>), Pimozide (D<sub>2</sub>), Sulpiride (D<sub>2</sub>), Haloperidol (D<sub>1</sub>/D<sub>2</sub>), Thioridazine (D<sub>1</sub>/D<sub>2</sub>) etc.]들을 사용한 고전적 신경마비제(classical neuroleptics) 연구로부터 도출된 결과들을 토대로 하여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제기된 신경마비제의 효과에 대한 세 가설을 설명하고자 한다. 첫째로 엔헤도니아 가설(anhedonia hypothesis)은 신경마비제가 유기체에게 유인가/동기적 가치(incentive/moti-vational value)를 지니게 됨으로써 이 헤도닉 강화물(hedonic reinforcement)은 신경전달 물질을 매개로 하여 중변연 도파민 기제(mesolimbic dopamine system)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둘째는 운동효과 가설(motor effect hypotheses)로, 신경마비제가 특정 운동기제(specific motor system)에 손상을 야기함으로써 생리적, 기능적으로 부작용(side effect)을 나타낸다는 것이며, 마지막 가설은 연합효과 가설(associative effect hypothesis)로서 항정신제가 기억과 학습에 중요한 중추기관으로 생각되는 중변연(mesolimbic)과 중피질(mesocortical)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이 세 가설을 종합해 볼 때, D<sub>1</sub>과 D<sub>2</sub> 길항제와 각 수용기의 기능적 역할들과 관련하여 제기된 문제들을 명확히 하는 데 일조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Abstract

Behavioral Pharmachology has provided more refined animal models for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subcataleptic doses of neuroleptics on operant behavior since the early day of behavioral pharmachology. Based mainly on findings obtained from classical neuroleptics that are either D<sub>1</sub>/D<sub>2</sub> mixed antagonists or D<sub>2</sub> antagonists, some theories connected this neuroleptic-induced phenomena to anhedonia (incentive/motivational) changes, whereas others used motor impairments, and associative deficits as explanatory concepts. First, the anhedonia hypothesis assumes that reinforcers have hedonic value for the organism, and this hedonic impact is mediated through dopaminergic neurotransmission as case that mesolimbic DA system is the neuronal circuitry involved in reward/motivational processes. Second, the motor effects hypotheses focused on identification of motor side effects of neuroleptics drugs, in addition to the findings of the behavioral studies, likehood of neuroleptic-induced motor impairment is also suggested by the fact that among the anatomical regions where DA antagonists bind is the striatum which is a part of the extrapyramidal motor system and claimed to be involved in control of motor activity. Third, possible effects of neuroleptics on processes other than motor activities were suggested by the fact that antipsychotics target the mesolimbic and mesocortical DA system, which are believed to be important in memory and learning process. Taken together, re-evaluation of three major hypotheses may helpful to clarity some of the issues related to D<sub>1</sub> and D<sub>2</sub> antagonists and functional roles of respective receptors.

keywords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