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기억과 주의의 관계 : 주의수준이 암묵기억과 외현기억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evels of Attention upon Implicit and Explicit Memory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 The Korean Journal of Cognitive and Biological Psychology, (P)1226-9654; (E)2733-466X
1993, v.5, pp.102-123
박태진 (전남대학교 심리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단어의 외현/암묵기억이 그 단어에 대한 주의수준에 의존하는지를 밝히기 위해 일련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1의 학습국면에서는 단어쌍들을 하나씩 제시해 주고서 각 단어쌍내에서 위치단서가 표시된 한 단어(단서단어)는 읽고 표시 안된 다른단어(비단서단어)는 무시하도록 요구하였는데, 단어쌍의 노출기간을 250, 500, 또는 1000msec으로 하였다. 검사국면에서는 단서단어와 비단서단어에 대하여 재인, 지각대비, 또는 지각식별검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단서단어의 경우 노출기간에 관계없이 모든 기억검사들에서 각각 일정한 크기만큼의 파지증거가 관찰되었지만, 비단서단어의 경우 기억검사에 따라 파지가능한 최소노출기간이 다음과 같이 상이하였다. 재인검사에서는 1000msec, 지각식별검사에서는 500msec이 파지가능한 최소노출기간이었으며, 지각대비검사에서는 250msec에서도 검사의 초기에는 파지증거가 관찰되었다. 실험2의 학습국면에서는 기억세트로서 한 개 또는 두 개 숫자를 먼저 제시한 뒤 한 단어를 네 개 숫자들과 함께 제시하였는데, 이때 숫자탐색만을 하도록 요구하되 기억세트의 크기가 한 개이거나(비주의조건), 숫자탐색과 동시에 단어를 기억하도록 요구하되 기억세트의 크기가 한 개(저난이도조건) 또는 두 개였다(고난이도조건). 학습국면 이전에 미리 기억세트의 크기에 따른 숫자탐색과제의 주의요구량을 측정한 결과, 기억세트의 크기가 한 개(비주의조건과 저난이도조건)인 경우보다 두 개(고난이도조건)인 경우 숫자탐색에 더 많은 주의용량이 요구되었다. 검사국면에서는 학습국면에서 제시된 단어와 제시되지 않은 단어에 대해 실험2에서와 동일한 기억검사들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기억검사에 따라 파지가능한 조건이 상이하였다. 재인검사의 경우 저난이도 조건에서만, 지각식별검사의 경우 저난이도와 고난이도조건에서만 파지증거가 관찰되었지만, 지각대비검사의 경우 비주의조건을 포함한 모든 조건에서 파지증거가 관찰되었으며 파지량 또한 일정하였다. 실험1와 2의 결과 특히 지각대비검사상의 결과는, 암묵기억이 주의수준에 의존하지 않으며 낮은 주의수준하에서도 자극의 파지가 가능함을 시사해준다.

keywords

Abstract

Two experiments investigated the possibility that memory for words is dependent on levels of attention of those words, In a study phase of Experiment 1, subjects first viewed pairs of words and were required to name one cued word and ignore other uncued word in each pair. The exposure duration of each pair was 250, 500, or I000msec. Recognition, perceptual contrast, or perceptual identification test was administered in a test phase, For cued words, irrespective of exposure duration, same amount of retention was observed in each of the memory tests. But for uncued words, the results were different among memory tests, Memory on recognition and perceptual identification was observed only at longer exposure duration, but memory on perceptual contrast was observed even at shorter exposure duration. In a study phase of Experiment 2, subjects first viewed one or two digits as a memory set and then four digits with a word. Subjecas were required to do digit-search only(non-attention condition) or see a word concurrently. More processing capacity was required when memory set size was two (high-difficulty condition) than one(tow-difficulty condition). Memory on recognition was observed only at low-difficulty condition and memory on perceptual identification was observed at low- and high-difficulty condition but not observed at non-attention condition. But Memory on perceptual contrast was observed even at non-attention condition, These findings, especially at perceptual contrast test, suggest that implicit memory is not dependent on levels of attention of words in the study phase.

keywords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