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자극간 거리효과로 본 주의이동의 속성

Effects of interletter distance and the nature of attention shift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 The Korean Journal of Cognitive and Biological Psychology, (P)1226-9654; (E)2733-466X
1994, v.6 no.1, pp.31-40
이영애 (이화여대)
이영림 (경북대 심리학과)
곽호완 (경북대 심리학과)

초록

본 연구는 피험자로 하여금 한 지점에서 다른 지점으로 주의를 이동시키도록 요구하는 과제에서 두가지 주의이동 모형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속적 주의이동 모형은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반응시간도 증가함을 예언하는 반면, 분연속적 주의이동 모형은 주의가 불연속적 방식으로 이동하므로 자극간 거리에 따른 반응시간상의 어떤 변화도 없음을 예언한다. 실험 1에서는 안구운동이 허용되는 노출상황 하에서 주의이동 속성을 검증하기 위해 자극화면을 피험자의 반응 산출 순간까지 제시했다. 피험자 과제는 자극화면의 문자 배열에서 위치단서가 주어진 두 문자 중 표적 문자가 있는지 없는지를 결정하는 것이었다. 실험 결과, 두 문자 사이의 겨리가 증가함에 따라 반응시간도 일정하게 증가하였고 이는 연속적 주의이동 모형과 일치하는 결과였다. 실험 2에서는 자극화면을 짧은 시간동안 제시하여 안구운동을 통제한 후 주의이동 속성을 검토하였다. 실험 결과, 문자간 거리가 증가하더라도 반응시간은 일정했다. 따라서 주의이동 시간에서 거리 효과가 관찰되지 않았다는 실험 2의 결과는 주의가 불연속적인 방식으로 이동함을 시사한다.

keywords

Abstract

Two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o examine the nature of distance effects in a task that requires subjects to shift their attention from one location to another. A continuous model of attention movement predicts that RT increases as the interletter distance increases, whereas a discrete model of attention shift predicts no distance effects on RT. Experiment 1 presented stimulus display with long exposure to examine the nature of attention movement in the natural condition that permits subjects' eye movements. Subjects' task was to determine whether one of the two letters cued by green circles contained a target letter in the stimulus display. As a result, reaction time to the target letter increased as the distance between cued letters increased, supporting the continuous model. In experiment 2, eye movements were controlled by presenting the stimulus display briefly. In contrast to the result of experiment 1, experiment 2 did not show any effect of distance. The data suggest that when eye movements are restricted, attention moves in a discrete manner.

keywords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