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6-9654
두개의 X점이 동일한 곡선 상에 있는지를 판단하는 곡선추적과제를 사용하여, 시각적 곡선추적과 정신적 곡선추적과정이 질적으로 어떻게 다른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하나의 X점과 곡선을 먼저 제시한 후에 이 화면이 사라진 상태에서 표적 X점만을 제시하여 피험자로 하여금 두 X점들이 선으로 연결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게 하였다. 실험 1에서는 사전제기화면과 표적화면간의 제시시간차를 1초로 하였다. 실험결과 곡선추적에 걸리는 시간은 두 X점간의 거리에 비례하여 선형적으로 증가함을 보여서, 시각심상에 기초한 곡선추적도 계열적으로 진행됨을 시사한다. 실험2에서는 사전제시-표적화면간 제시시간차를 100ms 및 2초로 조작하였다. 여기서 제시시간차 100ms조건은 사전제시화면의 시각표상이 상당히 유지되므로 시각적 곡선추적이 가능하고, 제시시간차 2초의 조건에서는 피험자가 시심상을 근거로 곡선추적을 해야 하므로 정신적 곡선추적이 필요함을 가정하였다. 실험 2의 결과 모든 제시시간차 조건에서 곡선추적의 반응시간이 X간 거리에 따라 선형적으로 증가하였다. 본 실험의 결과는 전반적으로 Ullman의 곡선추적모형의 예언과 일치하며, 곡선추적은 시각적이건 정신적이건 유사한 처리경로를 밟는다는 것을 시사한다.
Using a curve-tracing task that requires subjects to determine whether two Xs lie on the same curve or not, we carried out two experiments to test whether visual curve-tracing is qualitatively different from mental curve-tracing. We presented curves and an X before another target X was presented, and required subjects to determine if the X in the target display lies on the curve that contained the other X in the preview display. In experiment 1, the ISI between the preview display and the target display was 1 sec, whereas the ISI in experiment 2 was varied from 100ms to 2 sec. Since it was assumed that at the ISI level of 1 or 2 sec subjects must perform curve tracing operation based on mental imagery, it can be called 'mental curve-tracing', whereas the curve-tracing in the previous studies and the one using 100ms ISI level in experiment 2 can be called 'visual curve-tracing', As results, the response time for determining whether two Xs lie on the same curve increased with X-X distance regardless of ISI, suggesting that a serial curve-tracing processing was needed in both mental and visual curve-tracing tasks. It is also suggested that both the visual curve-tracing and the mental curve-tracing may share the same elemental operations and routin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