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범주사례의 발생빈도추정에 미치는 주의 및 제한된 인출시간의 효과에 관한 연구

Effects of attention and limited retrieval time on the frequency estimation of category exemplar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 The Korean Journal of Cognitive and Biological Psychology, (P)1226-9654; (E)2733-466X
1995, v.7 no.1, pp.71-86
이관용 (서울대학교)
이태연 (한서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일반적으로 어떤 자극의 발생빈도에 대한 정보는 그 자극과 함께 자동적으로 기억에 저장된다고 보거나 혹은 기억으로부터 그 자극을 인출하는 과정에서 계산된다고 본다. 이 연구는 주의와 인출시간을 조작하여 상위범주의 발생빈도에 관한 정보가 자동적으로 약호화되는지 아니면 인출시에 계산되는지를 검토하였다. 실험 1에서는 주의와 범주사례의 전형성을 조작하여 상위범주의 발생빈도가 약호화되기 위해서는 주의가 필요하며 발생빈도가 인출단계에서 계산될 가능성이 있음을 발견하였다. 실험 2에서는 범주사례가 제시되었을 때 그 사례의 상위범주를 말하도록 하여 상위범주를 직접 활성화 시켰는데도 불구하고 발생빈도를 약호화하려고 시도하지 않는 경우에는 이러한 조작이 발생빈도의 추정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실험 3에서는 인출시간과 범주사례의 전형성을 조작하였을 때 인출시간이 긴 조건에서만 전형성의 차이가 관찰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주의나 전형성과 변인들이 상위범주의 발생빈도를 추정하는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발견됨으로써 빈도가 자동적으로 약호화된다는 견해와 모순되는 결과를 얻었다.

keywords

Abstract

The frequency information on occurrence of a stimulus may be encoded automatically or computed at retrieval.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whether the frequency information on occurrence of a superordinate category was encoded automatically or computed at retrieval. In experiment 1, manipulating attention and typicality of exemplars, we found that frequency information could be encoded only with attentional effort and computed at retrieval. In experiment 2, we asked subjects to speak of names of it's superordinate categories when exemplars were displayed. Such a manipulation to activate directly a superordinate category had influenced on the accuracy of frequency estimations in the frequency instruction condition only in which subject tried to encode frequency informations intentionally. In experiment 3, manipulating response time limit and typicality of exemplars, the effect of typicality was founded in the short response condition only. These results contradict with the view that the frequency information on occurrence of a superordinate category is encoded automatically.

keywords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