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자극 유형이 범주화 방략의 선택에 미치는 영향: 언어 자극과 그림 자극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 of stimulus types on categorization strategies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 The Korean Journal of Cognitive and Biological Psychology, (P)1226-9654; (E)2733-466X
1996, v.8 no.2, pp.303-316
이관용 (서울 대학교)
이태연 (한서 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보기들의 범주화에 규칙과 유사성이 모두 영향을 미친다고 가정하는 절충적 견해가 일반화되면서 범주화 방략과 관련된 요인들을 밝히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자극 유형에 따라 범주화에 미치는 규칙과 유사성의 상대적 효과를 검토하였다. 실험 1에서는 얼굴 자극을 언어적 기술이나 그림으로 제시하고 이에 대한 피험자의 반응을 개별적으로 분석하여 두 조건에서 서로 다른 범주화 방략이 사용되는지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언어 자극에서는 본보기들을 규칙에 의해 범주화하고, 그림 자극에서는 유사성에 의해 범주화하는 경향이 있음을 알았다. 실험 1에서는 단일 속성으로 구성된 규칙만을 다루었으나, 실험 2에서는 둘 이상의 속성으로 구성된 규칙을 사용하여, 언어 자극에서 선형적으로 분리 가능한 범주의 학습 용이성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본보기들이 언어로 제시되었을 경우는 선형 범주가 학습이 용이하였으나, 그림으로 제시되었을 경우는 범주내 유사성이 높은 범주가 학습이 용이함이 밝혀졌다. 따라서 이 연구의 결과는 범주화는 규칙이나 유사성만으로 설명되기 어렵고 자극 유형도 범주화 방략의 선택에 중요함을 시사한다.

keywords

Abstract

As a hybrid view in which rule and similarity have influences on categorization has been prevalent, there were many attempts discovering factors on categorization strategies. This study planned to investigate relative effects of rule and similarity on categorization according to stimulus types. In Experiment 1, we presented stimulus to subjects in the verbal form or in the pictorial form, and then analyzed subjects' responses individually for examining effects of stimulus types on categorization. We found that transfer exemplars were categorized by rules in the verbal stimulus condition but by similarities among exemplars in the pictorial stimulus condition. In Experiment 2, we examined linearly separability had more influences on categorization in the verbal stimulus condition than in the pictorial stimulus condition. We found that subjects had learned a linearly separable category more rapidly in the verbal stimulus condition than in the pictorial stimulus condition. Therefore, categorization can't be explained by rule or similarity alone, and categorization strategies depend on experiment conditions such as stimulus types and task types.

keywords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