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6-9654
본 연구는 대명사 참조해결과 스크립트 지식이 덩이글 이해를 하는 동안에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를 살펴보고자 모두 다섯개의 실험을 시간경과적으로 실시하였다. 실험 1a (즉시 조건)와 실험 1b (250ms 지연)에서는 참조 해결의 목표단어가 스크립트의 목표단어보다 어휘판단시간이 빨랐으며, 실험 2 (500ms 지연)에서는 실험 1a와 1b를 반복한 결과와 처리유형과 단어유형간의 상호작용이 나타났다. 즉 참조해결의 선행단어보다 비선행단어의 어휘판단시간이 빨랐고, 스크립트의 중심단어가 말초단어보다 어휘판단시간이 빨랐다. 실험 3 (1000ms 지연)에서는 단어유형의 주효과가 유의수준에 근접했다. 개별분석 결과, 참조해결의 선행단어가 비선행단어에 비해서 반응시간이 빨랐다. 실험 4에서는 스크립트 지식의 활성화 여부를 알아보기 위해서 중심, 말초 및 통제 단어의 어휘판단시간을 시간경과 (즉시 조건과 1000ms 지연)에 따라서 비교하였다. 그 결과, 중심과 말초 단어가 통제단어에 비해서 어휘판단시간이 빨랐다. 다섯 개의 실험에서 얻어진 결과를 종합하면, 대명사 참조해결과 스크립트 지식의 활성화는 병렬적으로 시발되지만, 참조해결의 종결은 지식이 활성화된 이후에 종결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확산적-통합적 정교화 조망틀로 설명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integrative processing between pronoun resolution and script knowledge using time-course paradigm. In Experiment la (immediate condition) and Experiment lb (delay 250ms condition), the result was that the target words of reference resolution was faster than the target words of script knowledge in lexical decision response time. In Experiment 2 (delay 500ms condition), the result was that the target words of reference resolution was faster than the target words of script knowledge and interaction of processing type and word type in response time. In Experiment 3 (delay 1000ms condition), the result was that the antecedent words of reference resolution was faster than the non-antecedent words of reference resolution in response time. In Experiment 4, compared response time of knowledge and control word in immediate condition and delay 1000ms condition, the result was that the knowledge words was faster than the control word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explained by spreading-integrative elaboration framework.